지역 대학·기업 살리는 정책 우선해야
집단이 변화주도하는 사회적신뢰 필요

지난 9월 6일에서 8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2018 대한민국 균형발전 박람회가 열렸다. 제목은 '혁신, 지역을 깨우다'. 균형위원회 내부에서 이 제목에 대해 논란이 분분했다.

왜 지역을 대상화시켜서, 스스로 깨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충격으로 깨우치는 외생적 발전을 주장하느냐는 것이었다. 그러나 기분은 나쁘지만, 냉정하게 자신을 되돌아본다면, 혁신 역량은 지역마다 차이가 나는 것은 확실하다. 즉 가만히 두어도 잘 해나가는 지역이 있고, 가만히 두면 스스로 망해가는 길을 선택하는 지역도 있다는 것이다. 스스로 망해가는 지역은 외부의 충격으로 혁신을 도모할 수밖에 없다. 외부의 충격과 내부의 호응이 관건이다.

혁신은 개인의 역량이 아니라 지역의 역량이다. 유대인이 천재가 많다. 그 이유는 개인들의 능력이 아니라, 이들을 키우는 부모, 이들에게 영향을 주는 이웃의 상호작용 방식에서 천재의 능력이 키워지는 것이다. 그래서, 역사에서 혁신이 풍성했던 시기와 장소는 특정 지역에 한정되어서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천재가 특정 지역에서 많이 태어난 것이 아니라, 길러졌기 때문이다.

이날 행사의 하나로 혁신마당에서 '지역을 깨우는 사람들'이 모여서 혁신사례를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서로 토론하는 장이 있었다. 이 행사는 90여 명의 활동가 이야기, 세계적인 혁신가들과의 토크쇼, 혁신사례를 체험하는 기회, 혁신활동가 네트워크, 청년혁신카페로 구성되어 있었다. 나는 경남의 사례와 혁신활동가를 만나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발표하는 사람으로 참여한 사례나 사람은 없었다.

경남의 미래를 구상하면서, 지역의 좋은 일자리에 우수한 인력이 모이는 생태계를 구상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대학이 살아야 하고, 기업이 살아야 하고, 무엇보다도, 이를 뒷받침하는 정책이 있어야 한다.

지역 생태계의 구조에 대해서는 결론이 나와 있다. 무엇보다도 인재의 다양한 능력을 인정하고 장려하고 길러주고, 어느 정도의 무질서를 허용할 수 있는 사회적 능력이 필수적이다. 즉 사람을 보는 기준이 다양하고, 허용수준이 높아야 한다는 것이다. 좁은 시야를 가진 사람들, 사회적 분위기에서는 인재가 키워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경남도는 곧 지역혁신협의회를 꾸릴 것이다. 혁신협의회는 장기적 지역발전 전략 과제의 발굴, 중앙과 지방, 경남도와 시군, 지역 간, 혁신기관 간 협력을 담당할 것이다. 스스로 자생하는 지역만이 살 수 있다는 기본적인 철학에 근거하고 있다.

지난 8월 민선 7기 김경수 도지사 도정 4개년계획을 마무리하고, 이를 실행하고 추진 점검할 차례가 되었다. 도지사가 새로이 취임한 지도 100일이 지났다. 100일간 강조한 것이 공약을 책임질 공무원들의 변화였다. 도와 민간 사이의 변화였다. 도와 소통하고 도정에 참여하고, 도민의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고, 도정에 협력하고 이런 것을 우리는 사회혁신이라고 이름 지었다. 스스로 우리의 삶을 책임지고, 주도하면서 현실을 살고, 미래로 나아가자는 것이다. 제도나 여건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여건과 제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개인을 넘어서서 집단이 움직여야 한다. 집단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집단이 형성될 수 있는 상호작용의 사회적 공간이 만들어져야 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신뢰가 쌓이고, 미래를 위해 현재의 이익을 어느 정도 희생할 각오가 생길 것이다. 사회적 신뢰는 상호 믿음이 서로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는 믿음에 근거한다.

이은진.jpg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