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근무 경찰 60% 건강이상
생체리듬 깨져 질병에 취약
"근무환경 개선 대책 시급"

야간에 일하는 경찰 10명 중 6명이 건강 이상 진단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특성상 야간 근무는 불가피하지만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4일 오전 창원중부경찰서 입구에서 동료 경찰들이 고 김모(40) 경장의 마지막 가는 길을 배웅했다. 김 경장은 폐암 투병 끝에 숨을 거뒀다. 직접적인 원인은 흡연이지만, 근무 환경도 무시하기는 어렵다. 지난 2009년 11월 경찰이 된 김 경장은 기동대·파출소·형사(강력)팀 등에서 일했는데, 모두 야간 근무가 불가피했다. 형사는 경찰서마다 다르지만 보통 4~6일마다 야간 당직 근무를 해야 한다. 지구대·파출소는 3교대 또는 4교대로 야간 근무를 한다.

짧게는 3일, 길게는 6일마다 돌아오는 야간 근무는 생체리듬을 깬다. 창원의 한 경찰은 "아침 9시에 퇴근해 잠이 드는 것이 쉽지 않다. 30시간 가까이 잠들지 못하는 경우가 잦다"고 했다. 다른 한 경찰은 "경찰학교에서 같이 교육받고 대구로 발령된 동기 1명은 최근에 위암, 다른 동기는 대장암 판정을 받았다"며 "생체리듬이 바뀌는 야간 근무가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으리라 생각이 든다. 남 일이 아닌 것 같다"고 했다.

경북 포항에서는 지난해 9월 근무 중이던 경찰 3명이 잇따라 쓰러져 숨지기도 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병훈(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야간 근무 경찰 2만 9536명에 대한 특수건강진단 결과 59.6%(1만 7593명)가 유소견·요관찰자 진단을 받았다. 이는 2016년(56.3%)보다 3.3%p 증가한 수치다. 유소견은 질병의 소견이 보여 야간작업 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고, 요관찰은 질병으로 진전될 우려가 있어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남에서는 지난해 1364명 중 45.6%(622명)가 건강 이상 진단을 받았다. 건강 이상 진단 비율이 높은 곳은 제주(79.8%), 대구(76.7%), 광주(71.4%), 인천(68.4%) 등 순이었다.

정부는 경찰공무원 보건안전 및 복지에 관한 법률에 따라 업무적 특성을 감안해 건강검진·정신건강검사 등 의료지원을 한다. 경찰은 2015년부터 매년 특수건강진단을 하고 있다. 소병훈 의원은 "경찰관 건강은 치안서비스를 받는 국민 처지에서도 중요하다. 일부가 아닌 모든 경찰이 매년 진단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근본적으로 야간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경찰 온라인 커뮤니티 폴네티앙이 지난해 8월 개최한 '시민과 경찰의 인권개선을 위한 전국 경찰관 대토론회'에서 한 경찰은 "밤새 감정 노동에 시달린 지구대·파출소 경찰관들의 생존권을 위해 야간 근무 시 대기 2시간, 휴게 2시간 등 4시간 휴식이 보장돼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