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로 수소(Hydrogen)를 주제로 산업전·콘퍼런스를 겸한 '창원 국제수소에너지 전시&포럼(2018 H2WORLD)'이 지난 12일 폐막했다. 이번 행사에서 전문가들은 환경적·경제적 요인을 모두 들며 다소 낯선 개념인 '수소 경제로의 이행' 당위성을 역설했다.

임희천 한국수소산업협회 기술부회장은 'H2WORLD' 행사 중 하나로 지난 11일 열린 '제2회 신에너지 포럼'에서 '수소사회 실현을 위한 국가적 선택'이라는 주제 발표를 했다. 임 부회장은 "수소 경제(사회)는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이 2002년 펴낸 <수소 혁명>에서 쓰면서 확산한 용어"라며 "에너지 수요와 공급 가치사슬(Value Chain) 전체 영역에서 기존 화석연료 대신 수소를 에너지 유통수단으로 쓰는 경제 시스템을 뜻한다"며 수소 경제 의미를 설명했다.

화석연료에서 수소가 대체 에너지원이 되려면 친환경적이어야 하고, 단위 무게당 높은 에너지 밀도로 효율이 좋아야 하며, 경제성이 있어야 한다. 임 부회장은 수소가 에너지 효율에서는 이미 그 조건을 갖췄지만 수소생산 과정에서의 친환경성 강화, 수소 대량 생산 시스템 구축으로 연료비 인하 등이 과제라고 했다.

123.jpg
▲ 임희천 한국수소산업협회 기술부회장이 '창원 국제수소에너지 전시&포럼(2018 H2WORLD)' 중 하나로 지난 11일 열린 '제2회 신에너지 포럼' 첫 주제 발제자로 나와 '수소사회 실현을 위한 국가적 선택이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이시우 기자

임 부회장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파리기후변화협약에서 제시한 '2100년까지 지구 평균 온도를 산업화 이전 시기(18) 이전보다 섭씨 1.5도 이내 상승을 위해 노력한다'를 지키려면 205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 상승 폭은 섭씨 2도 안이어야 한다고 전망했다. 이를 위해 2050년에는 전체 전력생산의 63% 이상을 신재생에너지가 맡아야 한다. 수소가 이 신재생에너지 비중의 상당량을 차지해야 IEA 시나리오를 충족할 수 있다.

임 부회장은 "현재 전 세계 수소 생산 방법은 천연가스(NG) 개질(천연가스에 촉매를 써서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 48%, 부생수소(원유 정제 시 나오는 수소) 30%, 전기분해(수전해) 18%, 석탄 4%이다"며 "물 전기분해(수전해)와 갈탄을 활용한 방법 등 이산화탄소 배출 없는 수소 생산 비중 확대로 친환경성을 높이고, 수소 생산량을 확대해 연료 단가를 내릴 필요가 있다. 태양광과 풍력 등 연속적으로 전기를 생산·저장할 수 없는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을 활용한 수전해 등이 더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형주 녹색기술센터 정책연구부장이 소개한 '일본의 수소사회 이행 정책'도 흥미로웠다. 일본은 2016년 수소연료전지 전략로드맵을 만들고, 2017년 '수소 기본 전략'을 세웠다. 올해 7월 나온 5차 에너지 기본계획에는 수소-축전-분산형 에너지 체제 구축 추진'이 들어갔다. 로드맵 수준에서 법제화 단계로 진화한 셈이다.

일본은 '2017 수소 기본 전략'에서 "에너지 안전보장 확보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의 하나로 전 정부 차원의 역량을 투입해 수소 사회 실현을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다. 5대 기본 전략은 △수소 비용(제조·저장·수소이용)의 저감 △국제적인 수소 공급체인 구축 △국내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와 지방 상생 △발전분야에서의 이용 △이동수단 분야에서의 이용 등을 내세웠다.

주요 내용으로는 국제 공급망 구축으로 국외 미이용 에너지와의 조합, 수소제조에 재생에너지로 만든 수소 활용, 2030년까지 연간 30만t 규모의 수소 조달 등을 담았다. 또한, 2030년까지 수소발전 상용화와 발전에 쓰이는 수소 단가를 1㎾h당 17엔까지 내리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수소전기차 2030년까지 80만 대 보급, 수소충전소 2025년까지 320곳으로 확대 등도 계획했다.

현재 일본 내 25만대 이상 보급된 주택용 수소연료전지인 '에너지팜'도 흥미로웠다. '에너지팜'은 2008년 도시가스 공급업체, 연료전지시스템 제조사, 주택업체가 함께 모여 만든 주택용 수소연료전지 공동 브랜드다. 가정까지 들어온 도시가스를 활용해 수소를 만들고 이 수소로 발전을 해 난방과 가정용 전기로 쓴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전체 가구 중 10%(530만 대)가 이 에너지팜을 쓰도록 보급할 계획이다.

이동수단 분야에서 민간 협업도 주목할 만하다. 도요타·닛산·혼다 등 자동차업체와 JX닛코에너지 등 석유회사, 도쿄가스 등 도시가스·산업용 가스회사 등 모두 13개사가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 확대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김 정책연구부장은 "올해 8월 우리 정부도 수소를 3대 전략산업으로 선정한 만큼 국가 차원의 비전과 로드맵 수립이 중요하다. 또한, 호주와의 협력으로 전략 자원(갈탄) 확보와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민간 기업 사업 참여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며 "더불어 전력산업 소매 분야 자유화로 가정용 수소연료전지시스템 보급 확대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