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태풍 '콩레이'가 한반도를 지나가면서 경남 곳곳에 피해를 남겼다. 큰비가 올 때마다 하천 범람이나 침수의 위험을 안고 있는 창원시의 경우 그나마 큰 피해가 없었던 것이 다행이다. 앞선 4일 창원시는 허성무 시장 주재로 긴급대책회의를 열었고, 우수관이 통하는 길이나 도로 측의 배수시설을 점검하고, 침수 위험지역에 대한 차수시설 설치를 보완하는 등의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평소 가랑비 정도의 강우에도 도보가 불편할 만큼 빈약한 창원시의 치수 정책을 근본적으로 돌아보아야 할 때이다.

2018년 1월 현재 침수와 우수 방지를 위해 창원시에 설치된 재난대응용 배수펌프장은 모두 5곳으로 창원의 다섯 개 지역구에 각각 하나씩 지어져 있다. 그나마 이 중 가장 최근에 지어진 것은 2008년에 설치된 창원 성산구의 남천배수장이다. 그러나 행정구역이나 생활권역이 아니라 지형 조건과 치수 능력을 기준으로 펌프장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과거 창원시가 하수도정책을 임기응변적으로 펼친 것도, 도시로서 창원시의 배수 기능을 더욱 부실하게 재촉한 측면이 있다. 2013년 손태화 창원시의원은 우수 유입구에 악취방지시설물을 설치하는 바람에 물을 틀어막는 현상이 일어나 집중호우 때 저지대에서 수해를 입는 현상이 일어남을 지적한 바 있다.

또 주변보다 지대가 낮거나 하천을 끼고 있는 등 자연환경의 악조건을 안고 있는 경우 하수도 정책은 시설물 설치나 보완을 넘어 좀 더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한 부분이다.

중앙동 등 저지대나 상습침수구역에서는 반지하층 건물의 신축을 제한하거나 주택의 축대 높이를 일정한 규모 이상으로 정하는 등 조치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전임 시장 재임 시에 추진한 생태하천 조성과 하천정비사업 등 하천 정책에서도 재검토가 요구된다.

창원시가 환경수도라는 이름이 명실상부해지려면, 팔룡동에 설치 중인 우수저류시설 등 당국이 지형 조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도시 규모를 키웠다가 시설물을 통해 사후에 수해에 대처하는 것보다는 도시 하수 정책을 근본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