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보다 경제성 치중 지적

국토교통부의 김해신공항 건설 추진과 관련해 용역을 맡은 포스코컨소시엄의 용역 안은 김해지역 소음피해보다 최저사업비(비용 측면의 경제성)에 더 치중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해시의회 이정화(자유한국당) 부의장은 4일 시의회 제213회 정례회 1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 부의장은 지난 9월 6일 국토부의 '김해신공항 건설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중간보고회'에서 포스코컨소시엄이 V자형 활주로 안보다 소음 피해를 더 줄일 방안이 있는데도 이 경우 거액의 추가사업비 투입이 불가피하다는 이유로 11자형을 채택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소음피해 영향지역을 축소하는 방향의 대안을 채택하면 부산시의 에코델티시티 조성사업을 대거 줄여야 한다는 이유로 11자형 활주로를 채택하지 않은 것은 부산시의 눈치를 지나치게 본 것으로 이는 공정한 용역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해공항 운항횟수가 매년(2016년 하루 총 272회 이착륙에서 2018년 하루 총 306회 이착륙) 10% 이상 증가하는 점을 고려하면 현 국토부 안대로 강행하면 김해는 아예 소음도시로 전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 이유로 국토부가 V자형(ADPi 원안) 활주로대로 강행하면 70웨클 소음영향 지역은 7152가구에 이르지만 활주로 이륙각도를 22도로 수정한 활주로 안(11자형)을 채택하면 70웨클 소음피해지역은 4117가구로 줄어든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김해신공항건설 명분으로 김해공항을 확장하고 비행기 편수가 늘어나면 김해는 소음도시로 변해 소음피해 영향권인 내외동과 장유율하, 주촌선천지구 등 신도시에는 지가하락으로 시민들의 재산권 침해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로 말미암아 김해시는 70만 인구 확대정책도 전면 보류해야 한다"며 "동남권 관문공항은 소음피해 없는 가덕신공항건설이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지적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