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는 지난 1일 '창원형 신교통 추진단'을 만든다고 발표했다. 대중교통체계의 새로운 구축과 관련해 구 창원시에선 2014년 도시철도 건설 사업을 백지화했고, 마산시는 버스준공영제 운영에 실패했던 경험이 있다. 따라서 창원시의 이번 결정에 대해 우려와 기대의 목소리가 동시에 터져 나오고 있다.

대중교통체계 발전의 필요성은 도시발전의 전제조건이다. 먼저 대중교통체계는 단순히 에너지자원의 낭비를 막아서 공해를 저하하고 환경을 보전한다는 가치만이 아니다. 오히려 인간이 공동체를 구성하면서 생존하는 공간 자체는 완전히 다른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수단이자 도구이다. 도시라는 공간이 풍요롭고 활력이 넘치는 장소가 되려면 도시의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교통수단과 체계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시민들의 개인적 노력만으로 장소이동이 가능한 도시는 개인들에게 엄청난 비용만 강요하는 꼴로 전락하여 말 그대로 사망선고만 기다리는 도시일 수밖에 없다. 흔히 매력이라곤 찾기조차 어려운 도시라는 말이 그냥 우스갯소리는 아니다. 예를 들어 대중교통수단에 광고판처럼 도시의 문화상품 캐릭터를 활용하는 일본 도시들의 사례는 교통과 문화를 접목한 사례이다. 또한 그 지역의 지정학적 특징에서 비롯된 독특한 교통수단을 활용해 도시의 관광 상품으로 발전시킨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사례도 있다.

현재 창원시가 고민하는 신 교통체계는 버스준공영제와 간선급행버스(BRT) 도입 정도로 보인다. 시내버스의 운영뿐만 아니라 차량흐름에 도움이 된다면 이런 제도들의 도입에 부정적일 필요는 없다. 하지만 창원시 교통체계가 지닌 구조적 문제들을 제도 도입만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건 지나친 낙관으로 보인다. 마산·창원·진해라는 과거의 세 도시가 통합되면서 교통체계를 손보아야 한다는 말이 나온 것도 이미 오래되었다. 그럼에도 시내버스를 둘러싼 시민들의 민원제기는 끊이지 않고 있다. 시의 행정체계에서 하나의 팀을 신설한다고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오히려 시민들의 뜻과 요구를 담아가는 과정이 필요해 보인다. 시내버스 문제는 단순한 민원이 아니라 매우 복잡한 이해와 요구가 층층이 깔린 전통적인 사회갈등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