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 대형 조선3사와 계약
발주액 3조 원 규모 대형사 몫
중형사 소외감 여전 '지원'호소

해운산업 회생을 위한 정부의 첫 대형 정책적 발주가 이뤄졌지만 중형조선사는 포함되지 않았다. 정부가 대형 조선사에만 관심을 두고 있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한진해운 퇴출 이후 국내 유일의 대형 국적 해운사로 남은 현대상선은 지난달 28일 국내 대형 조선 3사와 초대형 컨테이너선 20척 발주 계약을 맺었다. 발주액은 모두 3조여 원으로 국적선사로는 전무후무한 초대형 규모다. 이들 발주 물량은 모두 대형 조선사 몫이었다.

정책 발주로 명암이 엇갈린 대형-중형 조선사. 대우조선해양 전경. /경남도민일보 DB

삼성중공업 전경. /경남도민일보 DB
◇해운산업 초유의 대형 발주 = 현대상선이 지난달 28일 서울에서 각 사와 맺은 발주 계약을 보면 대우조선해양이 2만 3000TEU급 7척, 삼성중공업이 2만 3000TEU급 5척, 현대중공업이 1만 5000TEU급 8척을 수주했다. 1만 5000TEU급 8척 건조자금은 약 1조 1500억 원, 2만 3000TEU급 12척은 2조 원에 이른다.

1만 5000TEU급 8척 자금은 무역보험공사와 지난 7월 설립된 한국해양진흥공사 보증으로 60%(7000억 원·선순위)를 시장에서 조달하고, 나머지 40%(4600억 원·후순위)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자산관리공사(캠코)가 맡는다. 2만 3000TEU급 12척 자금은 보증 없이 시장 조달로 40%(8000억 원·선순위)를 마련하고, 산은과 해양진흥공사가 각각 15%(3000억 원·중순위)와 35%(7000억 원·후순위)를 책임진다. 나머지 10%는 현대상선이 자체적으로 조달해야 한다. 해양진흥공사는 보증과 자금투입을 하고자 약 3조 원 규모의 공사채 발행을 준비 중이다.

현대상선이 2021년 20척을 모두 인도받으면 선복량(화물 적재 총량)은 80만 TEU 이상으로 늘어 세계 8위 선사로 뛰어오른다. 대우조선과 삼성중 선박 인도 납기는 2020년 2분기, 현대중공업은 2021년 2분기이다.

이번 발주는 지난 4월 5일 발표한 정부의 '해운재건 5개년 계획'과 맞닿아 있다. 정부는 선박 신조 지원 프로그램과 해양진흥공사 투자·보증 등을 활용해 2020년까지 벌크선 140척 이상, 컨테이너선 60척 이상을 발주하겠다고 밝혔다.

STX조선해양 전경. /경남도민일보 DB

성동조선해양 전경. /경남도민일보 DB
◇중형 조선사 지원 정책은? = 경남·전남 등 조선소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중형조선사에 대한 정부 정책 마련 요구 목소리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중형조선사는 법정관리와 구조조정, 임직원 장기 무급 휴직, 선수금환급보증(RG) 미발급에 따른 영업력 약화 등으로 사선을 넘나들고 있는 반면 대형 조선사는 그간 구조조정과 적극적인 수주로 적지 않은 수주 물량을 확보한 상황임에도 이번 정책적 발주가 모두 대형 조선사만을 위한 것이어서 비판받을 만하다. 중형 조선소가 건조할 만한 선박 조기 발주와 RG 발급 지원책이 더 시급함에도 대형 조선사만을 겨냥한 발주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을 두고 도내 중형조선사는 상대적인 소외감과 답답함을 호소한다. 성동조선 관계자는 3일 "정부가 벌크선 140척 이상, 컨테이너선 60척 이상 발주를 밝힌 만큼 벌크선과 중형 컨테이너선 정책 발주를 서둘러 우리 회사를 포함해 어려움에 놓인 중형조선사 회생에도 관심을 기울였으면 한다"고 지적했다.

STX조선은 2만 TEU급 이상 초대형 컨테이너선 건조 경험이 있지만 법정관리를 거치면서 중형 탱커(액체운반선)와 소형 LNG선(LNG운반·LNG벙커링 선박) 건조에 야드를 특화해 이번에는 포함되지 못했다.

STX조선 관계자는 "우리는 지금도 RG 발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책 발주는 차치하고서라도 정부가 중형 조선사별 선종 특화와 RG 발급 지원책 등 정확한 정책을 하루빨리 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