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도보다 관객의 공감대가 중요"
중고생까지 사로잡아야
운명공동체 어필도 필요

지난 19일 창원호텔에서 열린 경남경영자총연합회 조찬세미나. 행사 장소는 오전 7시부터 '사장님'들로 가득 들어찼다. 이날 이승재 영화평론가의 '영화로 살펴보는 성공의 법칙'이란 강연이 진행됐다. 한국 1000만 영화의 성공 비결을 분석한 내용이다. 지독한 현실인 경영과 감성 예술인 영화가 만나는 지점은 어디일까. 뜻밖에 답은 간단했다.

"잘 만들고도 망하는 영화도 많다. 못 만들어도 떼돈을 버는 영화도 많다."

관객 1000만을 넘기는 일. 그러니까 돈 버는 영화를 만드는 일은 영화의 완성도의 문제가 아니었다. 결국, 관객의 감성, 마음을 잡는 일이었다. 관객 대신에 고객을 넣으면 그대로 경영의 중요한 화두가 되는 셈이다.

지난주 경남경총 조찬세미나에서 강연하는 이승재 영화평론가. /이서후 기자

◇1000만 영화의 필수 조건, 청소년

"1000만 넘은 한국 영화가 모두 17편이에요. 이 중에 청소년관람 불가 영화가 몇 개가 있을까요? 답은 없다, 입니다."

1000만 관객의 중요한 갈림길 중 하나는 중고생이 몰리느냐 아니냐다. 한국 영화 관객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숫자는 500만, 800만, 1000만이다. 500만은 <추격자>처럼 주로 20, 30대가 열광하며 본 영화다. 800만은 <친구>처럼 20, 30대와 중년을 포함한 어른들이 대부분 본 영화다. 여기에 중고생까지 몰려야만 1000만이 넘는다.

"1000만 영화는 단순히 재밌는 영화가 아니다. 모든 세대의 공감대를 얻을만한 메시지가 있어야 한다."

이승재 평론가는 <사도>를 예로 들었다. 여러모로 1000만 관객 요건을 갖추었다는 평을 들었지만, 관객수 625만에 그쳤다. 청소년이 외면했기 때문이다.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먼저 남자 중고생이 사도세자 역의 배우 유아인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다. 그리고 영화에 액션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중고생들이 싫어하는 메시지, 다시 말해 '공부 안 하는 아들을 훈계하는 아버지의 마음'이 중요한 주제다.

◇한국인의 상처를 건드리다

전 세대 공감이란 맥락으로 이승재 평론가는 포스터 중요성도 강조했다.

"한국 1000만 영화의 굉장히 중요한 공통점이 또 있다. 이 영화들의 포스터를 주목해 보자. 포스터에 등장인물이 집단으로 나온다. 우리가 운명 공동체라는 걸 강조하는 거다."

이런 형식의 포스터는 흥행에 굉장히 중요해서, 할리우드 영화도 배우들이 우르르 나오는 한국형 포스터를 따로 만들 정도다. 그리고 거의 모든 포스터에는 웃는 사람이 없다. 이는 영화의 메시지와 정서를 잘 보여주는데, 결국은 '나는 억울하다'는 내용이다. 이런 설정이 한국인의 감성과 상처를 어루만지고, 관객들은 자신의 이야기라고 공감을 한다.

"왜냐면 이런 부분이 한국인의 정서 중 상대적 박탈감을 건드리기 때문이다. 경쟁심 강한 우리나라 사람은 항상 자기보다 나은 사람을 바라보며 불행해한다. 그래서 1000만 영화는 즐겁다기보다는 열을 받게 하는 영화라고 해야 한다. 그래서 이런 경향을 비판하는 시각도 있다. 한국 사회를 반으로 나눠 싸우게 하는 영화라는 것이다."

◇1000만 영화의 단점, 영화 생태계 파괴

1000만 영화가 계속 나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하지만, 빛이 있으면 그림자가 있게 마련. 1000만 영화의 그림자는 과도한 상영관 점유에 따른 영화 생태계 파괴다.

"한국에 상영관이 2900개다. 흥행 영화, 예를 들어 <어벤져스> 3편은 이 중 2550개를 점유했었다. 이러면 관객의 선택지가 줄어들고 실험적인 영화, 작은 영화가 빛을 보지 못한다. 그러면 영화 생태계가 무너진다. 경제가 성장하려면 대기업도 잘살고 중소기업도 잘살아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래서 이런 상황이 한국 영화의 미래를 위해 바로 좋은 건 아니다." 그래서 이승재 평론가는 유명한 영화가 아니라도 이런저런 영화를 다양하게 보면서 영화를 보는 시각을 풍성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