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부터 해상환경규제 강화…각국서 선박연료 시장 변화 대비
경남도 1200억 규모 클러스터 구축 사업 '사전 연구용역' 진행 중

경남도 등이 주최해 지난 19일 막을 내린 '2018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EA 2018 MARIN TECH)'에서는 선박에서 액화천연가스(이하 LNG) 연료가 어떤 이슈를 낳고 있는지 집중 논의됐다. 전문가들은 선박 연료로 LNG를 쓰는 시대는 이미 시작됐고, 가까운 미래에 LNG 연료추진선박은 훨씬 많아질 것임은 분명하다고 입을 모았다.

◇벙커링이란 = 특이하게도 선박에서는 '연료 공급(주입)'을 영어로 '퓨얼링(Fueling)'이 아닌 '벙커링(Bunkering)'이라고 쓴다. 이는 산업화 초기 석탄을 때서 증기선을 운항하던 것과 관계가 깊다. 석탄을 저장하는 창고를 '벙커(Bunker)'라고 했다. 증기 기관이나 증기 터빈에 쓰는 연료인 석탄을 공급하는 행위를 벙커링이라고 했다. 즉, 어떤 연료인가와 관계없이 선박에 연료를 공급하는 모든 행위를 '벙커링(bunkering)'이라고 한다. 현재 대다수 선박 연료로 쓰이는 저급 중질유가 '벙커C(bunker C)'유로 불리는 이유도 연장선에 있다.

◇LNG 연료 추진선과 LNG벙커링 = LNG 연료추진선과 LNG 벙커링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LNG를 연료로 써서 주기관(엔진)을 가동하는 선박이 없다면 LNG를 배에 주입하는 행위(벙커링)와 관련된 벙커링 터미널과 벙커링 전용 선박(Bunkering Shuttle 혹은 Vessel), 전용 파이프는 필요 없다. 역으로 LNG 연료를 주입할 곳, 자동차로 치면 주유소가 없다면 LNG 연료 추진선을 만들 엄두가 나지 않는다. 이는 국내 수소연료전지차가 기술력이 뛰어나도 수소충전소가 적어 자동차 소비자가 구입을 망설이는 이유와 똑같다. 선박에서 LNG 연료 산업은 LNG 연료추진선, LNG 벙커링 터미널, LNG 벙커링 전용 선박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다.

이들을 만드는 데 필요한 LNG 전용(혹은 이중연료용) 선박 엔진, 연료 창(Cargo), 기체 상태로 증발을 잘하는 연료 특성상 필요한 재액화기, 액화한 천연가스를 기체로 만드는 재기화기, 극저온 파이프 등 모듈급 핵심 기자재도 필수적이다.

정부는 고부가가치의 모듈급 주요 기자재 기술력 향상과 국산화를 위한 정책을 여러 차례 발표했다. 고성군 동해면에 최근 확정한 LNG 벙커링 기자재 시험인증센터 건립(사업비 315억 원)은 국내 기자재 활성화를 위한 사업 중 하나다. 경남도는 기자재 시험인증센터 외에도 전체 사업비 1200억 원 규모의 'LNG 벙커링 클러스터 구축 사업'을 정부 예비 타당성 조사 사업에 포함시키려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자체 사전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LNG가 선박 연료로 주목받는 이유? = 국제해사기구(IMO)는 각국을 대표하는 이들이 모여 표로써 의사결정을 하는 국제기구다. 한 번 결정하면 국제법에 준하는 강제력을 갖는다. 이런 IMO가 지속적으로 해상환경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2016년 10월에는 전 해상에서 선박 연료의 황산화물(SOx) 배출을 2020년부터 기존 3.5%에서 0.5%로 강화하는 결정을 했다. 올해 4월에는 이산화탄소(CO2) 등 온실가스 배출 기준을 2050년에는 2008년의 절반 이하로 줄이겠다고도 했다.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최근 중국에 이르기까지 각국은 연안을 배출제한구역(Emission Conrtrol Area)으로 정하는 조치를 확대하고 있다. ECA 내에서는 SOx 배출 기준이 2020년 0.1%(EU 기준)로 더 강화돼 SOx 배출량이 '0'인 LNG가 선박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에 따르면 LNG연료추진선은 2014년 68척에서 2018년 5월 254척으로 급증했다. 올해 5월 현재 국내 조선사가 건조했거나 건조 중인 LNG벙커링선은 3척, LNG연료추진선은 12척이다.

항만에서도 변화가 일고 있다.

네덜란드 로테르담항·싱가포르항·일본 요코하마항 등 주요 환적화물 취급 국제항과 중국·스페인 등도 항만 내 LNG 벙커링 인프라 확충 계획을 내놓고 있다.

부산항 신항 내 구축할 LNG벙커링터미널을 두고 인프라 구축이 꼭 필요하다는 데 거의 모든 전문가들이 동의했다.

다만 해당 부처와 광역자치단체의 설득과 설명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과 2025년 이후 항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하루빨리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문가 내에서도 나뉘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