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에 대한 공경 우리 겨레 사상적 뿌리
고향 찾아 가족·이웃 간 화합 도모하길

망운산 산사에는 어느덧 가을의 향기가 물씬 풍기고 다가오는 8월 추석을 반긴다. <삼국유사> 기록을 보면 신라 제3대 유리왕 9년에 도성을 6부로 정하고 그 도성들을 두 편으로 나누어 음력 7월 16일부터 밤늦도록 날마다 길쌈을 하여 8월 15일까지 어느 편이 더 많이 삼았는지 가려서 진 편이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대접했다고 한다. 이때 노래와 춤, 그리고 온갖 놀이를 했다고 하여 '가위'라고 불렀다고 하니 추석을 왜 '한가위'로 부르게 되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일본 자각대사의 <입당구법순례기>의 개성4년 항목에 보면, 이 같은 풍속은 오직 신라에만 있었다고 기록했다. 이러한 풍속이 민간뿐만 아니라 사찰에서도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불교는 알다시피 우리나라에 유입하면서 민속·전통과 밀접한 관련을 맺었기 때문에 이런 유추가 가능하다. 중국에도 '중추절'이라는 이름으로 달을 제사하는 만월제의 풍속이 있었다. 그래서 달을 상징하는 월병(月餠)이라는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 선사시대부터 내려오는 인류의 공통문화가 바로 달에 대한 풍속이 아닌가 생각된다. 특히 우리 조상들은 달이 일 년 중 가장 커 보이는 음력 8월 보름에 조상과 자연에 대한 감사의 행사를 벌였다. 조상들께 새것과 햇곡식을 먼저 올렸던 그 마음이 바로 우리 겨레가 따뜻한 민족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사상적 뿌리였다고 생각한다. 요즘은 고유명절도 행사처럼 치르거나 아예 조상에 대한 예를 올리지 않고 여행을 떠나는 경향이 있지만 우리가 지금까지 한민족의 끈끈한 정을 느끼며 살아올 수 있었던 것은 조상들이 조상을 존경하고 후손을 지극히 생각하는 마음이 있었던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추석이면 맛있는 음식을 마련하는 것, 벌초를 정성껏 하는 일들이 모두 자연과 조상에 대한 은혜에 감사하는 일이었고 다시 겸손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다짐을 하는 의식이었다. 감사할 줄 알고 그 은혜에 보답할 줄 알 때 이 사회가 경쟁력을 다투는 사회라 할지라도 결코 삭막한 곳은 되지 않을 것이다. 우리 민족에게 추석이 특별한 것은 고향에 대한 정서 때문이다. 추석 때마다 고향을 찾아가는 사람들로 인해 민족 대이동이 이루어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고향은 내 과거가 있는 곳, 정이 든 곳, 마음이 쉽게 떠나지 않는 곳이다. 어딜 떠나서도 마음 한구석에 머물러 있는 그 점이 바로 고향에 대한 향수이자 매력이다.

단지 지금 이 자리에서 생각하고 싶은 것은 '고향' 그 자체이다. 정이 든 고향, 가고 싶은 고향, 내가 지키고 싶은 고향, 만들고 싶은 고향을 꼭 찾아서 마음에 가득 담긴 정(情)을 나누자. 우리 민족의 최대 명절을 가을 추(秋), 저녁 석(夕), 추석이라고 한다. 고로 추석은 화합의 날이자 감사의 날이며 추수(秋收)의 날이다. 오늘 망운산 계곡에 흐르는 물은 붓다의 장광설이요, 가을빛 산색은 청정비로자나불의 법신일세. 고향으로 가는 길에 산과 들판을 한 번 살펴보자. 그러면 문득 자성(自性)을 깨달으리, 할(喝)!

성각.jpg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