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도지사 취임 이후 경남경제의 회생과 혁신이 동시에 이야기되고 있다. 그러나 경제의 회생과 혁신은 질적으로 전혀 다른 내용을 담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두 개의 과제를 동시에 진행하는 건 지나친 욕심이 아니냐는 말도 나올 수 있지만, 경남경제만이 아니라 한국의 미래를 위해선 두 개의 과제는 반드시 수행해야 한다.

현재 조선과 자동차 산업의 위기상황이 계속되면서 경남제조업의 토대가 흔들리고 있다 보니 제조업경기의 회생을 위한 재정투자가 급박하게 이뤄지고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론 경남 제조업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기를 맞이해 이젠 체질개선을 해야 할 필요도 있다. 제조업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생산과정을 합리화하고 부가가치를 배가하는 생산전략이 실제로 실행돼야 제품의 시장경쟁력도 높아지면서 기업의 생존가능성 역시 높아지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별다른 기술력 없이 모방하는 수준의 기술로 제품을 만들어선 더 이상 시장에서 생존할 수 없다는 점이다. 우리 제조업의 턱밑까지 추격하고 있는 중국제품들을 떠올린다면 제품 생산의 업그레이드는 필수불가결한 과제이다.

상호 모순적인 회생과 혁신이라는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경남경제는 한국경제의 축소판일 뿐이다. 한국제조업의 전진기지 역할을 하는 경남경제에서 스마트 공장이라는 화두는 단순한 미사여구가 아니다. 고부가 기술 집적의 생산방식을 접목하지 않고선 세계의 공장이라는 칭호를 가진 중국과 베트남과 같은 후발 산업화 국가들에 얼마든지 추격당할 수밖에 없다. 또한 당장 경기회복을 위해선 대형 SOC 건설 및 토목사업뿐만 아니라 영세자영업자들을 지원하는 경제정책도 동시에 필요한 실정이다. 경남판 뉴딜정책인 서부경남 KTX 건설사업과 더불어 소상공인을 위해서 카드 수수료를 대폭 내리는 '제로 페이' 사업도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

현재 총체적 난국에 빠진 경남경제의 전환점을 어떻게 마련할지에 대한 정책적 고민의 정도에 따라 한국경제의 출구전략을 만드는 것도 쉬울 수 있다. 한국경제가 처한 현재의 위기감을 절망으로 전락할 게 아니라고 한다면 경남경제가 먼저 탈출구를 찾는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