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주먹구구식" "정산·회계 불투명" 지적
현 회장 "부족한 점 있으나 일부 회원 강압적"

'경남마을기업협회'가 심각한 내부 갈등을 겪고 있다.

마을기업은 '지역주민이 각종 지역 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으로 공동의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소득 및 일자리 창출로 지역공동체 이익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설립·운영하는 마을 단위 기업' 정도로 풀이할 수 있다.

마을기업 분야는 농업·예술·환경 등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있다. 예를 들면 '퇴직 군무원 무단방치 유휴지 도시농업화사업' '할매 바리스타' '갯벌 등 어촌체험' '그린푸드 사업' 등을 들 수 있는데, 영농조합법인도 다수를 이룬다.

마을기업은 △기업성 △공동체성 △공공성 △지역성 등의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시·군 적격 검토-광역자치단체 심사-행정안전부 최종 심사를 거쳐야 한다. 이렇게 마을기업으로 지정되면 최대 3년간 1억 원(자부담 사업비 20% 조건)을 지원받을 수 있다.

마을기업은 올해 3월 기준 전국적으로 1514개로 파악되고 있다. 이 가운데 경남은 118개다.

도내 일부 마을기업은 지난 2012년 5월 '경남마을기업협회'를 창립했다. 경남마을기업협회는 현재 법적 단체는 아니며, 연회비를 내는 마을기업 수도 절반을 넘지는 않는다. 따라서 경남 전체 마을기업 대표성을 띠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마을기업 활성화를 위해 앞으로 구심점 역할을 기대받고 있다.

이러한 경남마을기업협회가 운영 문제를 놓고 진통을 겪고 있다.

한 회원은 "정관을 만들어 놓았지만 말 그대로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회원은 구체적으로 "마을기업들이 참여해 공동으로 판매 행사도 한다. 그런데 정산을 포함한 그 결과에 대해 알려주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회원은 "총회를 열어도 자료집 없이 안건 목록만 한 줄씩 적어 놓는 식이다. 회원들이 연회비를 내는데, 회계도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모른다. 지금까지 하나의 관행처럼 이어져 왔는데, 이제 제대로 좀 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지난 2월 선출된 현 회장은 "법적 단체가 아니다 보니 그동안 부족했던 부분도 분명히 있다. 하지만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과거엔 그랬다면 이제는 이렇게 하자'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하나 이야기를 풀어야 하는데, 일부 회원 몇 명이 '무조건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하라'는 식이다"고 주장했다.

즉, 서로 절차·정관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경남도는 난감한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우리가 직접 '이렇게 저렇게 하라'라고 할 권한은 없다. 그럼에도 도내 마을기업 발전을 위해 중재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양측 감정이 많이 상한 상태인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협회를 비영리단체로 등록해 좀 더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쪽으로 논의를 이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