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미술관 내 아트숍
클레이아크김해 설문조사 결과 '관람객 기념품 구매욕구 높아
'문신·전혁림미술관 오랜 투자…"수익 낮아도 문화 향유 확장"

프랑스 작가 앙리 마티스(1869~1954)를 몰라도 그가 그린 여인 '나디아'는 익숙하다.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카페와 옷가게, 게스트하우스 등에 많이 내걸려 자주 볼 수 있다. 앙리 마티스의 작품은 복제 그림뿐만 아니라 가방, 휴대전화 케이스 등의 디자인으로 활용되며 생활용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문화상품(아트상품)은 일상생활에서 만나는 예술 작품이다. 예술가의 작품을 생활 속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품화한 물건으로, 아주 적은 비용으로 예술을 소비할 수 있다.

문화상품을 쉽게 볼 수 있는 곳은 박물관이다. 국립박물관은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을 중심으로 문화상품점을 운영하고 있다. 국립진주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에서 만날 수 있는 문화상품은 국립박물관문화재단에서 기획해 제작한 것이다. 9이와 다르게 미술관은 저마다 정체성을 확립하고 열악한 경영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수익 모델로 문화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이 '고객쉼터&기념품숍'을 열어 주목받았다.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이 개관 3주년 만인 지난달 고객쉼터&기념품숍을 열었다.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관람객 70% 이상, 문화상품 원해" =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큐빅하우스 1층 갤러리 4를 지나면 '고객쉼터&기념품숍'이 나온다. 가끔 전시 연계 행사로 문을 열었던 공간이 지난달 1일부터 관람객을 위한 곳으로 개방됐다.

고객쉼터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단연 문화상품이다.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이 그동안 개발해 판매했던 문화상품과 도록을 한 곳에 모아 두었다. 가격은 500원에서 1만 8000원 사이로 다양하다.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이 개관 3년 차에 기념품숍을 연 이유는 관람객들의 요구 때문이다.

정명주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담당자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기념품 문항에서 많은 이들이 미술관 기념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약 200명 중 150여 명이 긍정적이었다. 또 문구류와 소품류를 원했다"고 설명했다.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은 본격적으로 기념품숍을 운영하려고 내년에 예산을 들여 새 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갈수록 많은 사람이 예술품을 가까이 두고 누리고자 하는 열망을 살려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만의 색깔을 낼 것이라고 밝혔다.

국립김해박물관 문화상품은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기획해 만든다. /김해박물관

◇문화상품의 한계와 가능성 = 도내에서 아트숍을 따로 운영하는 미술관(전시장)은 통영 전혁림미술관,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김해가야테마파크, 창원 창동예술촌 등이다.

전혁림미술관은 전혁림(1916~2010) 화백의 작품뿐만 아니라 전영근(전혁림미술관 대표) 작가의 작품을 바탕으로 컵과 접시, 자석 등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통영 전혁림미술관은 전혁림 작가의 작품을 활용한 아트숍을 운영 중이다. /전혁림미술관

전혁림미술관은 문화상품으로 이름나 있다. 10년 전 전혁림 화백의 작품을 이용해 디자인한 손수건과 넥타이 등이 미국 애틀랜타 박물관과 앨라배마주 오번대학교 줄 콜린스 스미스 미술박물관 아트숍에 입점해 호평 받았다. 전혁림미술관 측은 꾸준히 문화상품을 내보이고 호응을 얻지만 아직 큰 수입원은 되지 않는다고 했다. 미술관을 독자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모범적인 방법이지만 투자만큼 경제적인 효과가 크지 않다고 전했다.

창원 창동예술촌 아트센터 1층에 있는 아트숍 안내판. /이미지 기자

이는 도내 아트숍이 공통으로 안은 고민이다. 창원 창동예술촌은 아트숍에서 예술촌에 입주한 작가 40여 명의 작품을 다양하게 선보이지만, 운영은 걸음마 단계다. 또 김해문화의전당처럼 규모가 큰 미술관은 문화상품 개발 필요성을 알고 있지만 투자 비용과 수익 사업의 방향 등 여러 이유로 적극적이지 않다.

전시 작품과 성격이 뚜렷한 김해가야테마파크가 '금이야', '옥이야' 캐릭터를 개발해 기념품점을 연 것과 대조적으로 여러 장르를 선보여야 하는 김해문화의전당 윤슬미술관, 경남도립미술관 등은 소장품을 응용하거나 기획전에 맞춘 기획 상품을 내보여야하기 때문에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캐릭터를 활용해 만든 문구류와 생활용품 형태의 문화상품. /김해가야테마파크

◇예술을 일상으로 = 이에 대해 최성숙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명예관장은 "그럼에도 미술관이 해야 할 일이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녀는 20년 넘게 문화상품을 개발해왔다. 1996년 사립미술관이었던 때 최성숙 명예관장은 문신(1923~1995)의 작품을 널리 알리려고 '예술을 일상으로'를 내세웠다. 여러 연구자와 머리를 맞대 보석, 넥타이, 식기류 등 문화상품을 확장했다.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에 있는 문신 작품을 활용한 엽서와 넥타이. /이미지 기자

특히 문신이 조각이나 채화를 위해 그린 밑그림(드로잉) 60여 점은 보석과 잘 맞았다. 문신 작품의 드로잉을 그대로 사용해 제작한 브로치와 액세서리는 국내외에서 주목받았고 홍콩세계보석쇼 등에서 주최하는 문화상품전에 참여하기도 했다.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내 아트숍은 최 명예관장이 직접 운영하는 곳이다. 문신연구소를 함께 두어 문신의 작품을 복제한 것뿐만 아니라 넥타이, 스카프, 티셔츠 등 또 다른 작품을 만들고 있다. 최근에는 민속 신앙 속에 자리 잡은 십이지신상을 디자인한 아주 작은 컵을 만들어 새 상품으로 선보였다.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아트숍에서 볼 수 있는 문화상품 접시. /이미지 기자

문신연구소와 아트숍은 앞으로 문화상품의 규모를 키우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최 명예관장은 "문화상품은 또 다른 예술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오리지널 작품을 새롭게 해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간과 공을 많이 들여야 한다.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의무감과 책임감이 있어야 한다"며 "문화상품의 대중화는 문화예술을 친근하게 향유할 수 있는 선순환적인 구조다"고 강조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