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사정이 심각하고 소득불평등도 심화해 민생이 어렵다고 하지만 영남지역 주민에게는 먹는 물이 더 시급한 문제가 되고 있다. 영남의 식수원인 낙동강 유역 합천창녕보의 녹조가 역대 최고치에 달해 경남과 대구 부산 등 주민들의 생명안전과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이번 여름 기록적인 폭염에 수온이 수직 상승하고 장마가 짧아 유량이 부족한 데다 물이 흐르질 못하다 보니 유해 남조류가 대폭 증가한 탓이다.

1000만 인구의 먹는 물이 오염되고 있음에도 정부는 뾰족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보를 열어 물이 흐르게 만들면 훨씬 나아지겠지만 당장 그럴 수도 없는 실정이다.

4대 강 사업을 하면서 낙동강 본류에 설치한 취수·양수장 취수 높이를 최저 수위가 아닌 관리 수위에 맞춰놓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낙동강 8개 보 수문을 활짝 열면 취수구가 강물 위로 빠져나와 물을 퍼올 수가 없다. 식수는 물론 농업용수, 공업용수 몽땅 끊기고 마는 비상사태가 벌어지는 것이다.

애초부터 4대 강 사업의 설계가 잘못된 탓에 벌어지고 있는 일이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처지라 하겠다. 게다가 보를 개방하려면 양수장과 취수장 시설도 그와 맞춰 개선해야 한다. 조사에 따르면 양수장은 대부분, 취수장은 절반이나 개보수가 필요하다고 하니 기가 찰 노릇이다.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낙동강의 재자연화를 통해 물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과학적 조사에 기반해 하천의 물리적 구조를 회복해야 한다. 4대 강 사업으로 인해 파괴된 하천과 지천, 둔치와 수중생태계에 관해 복합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낙동강을 되살리는 방도를 찾아야 한다.

그렇다고 그때까지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에 대해 철저하게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일부터 할 필요가 있다.

식수원 확보를 담보로 하는 소수력발전 등 부분적인 해결책도 찾아야 한다. 무엇보다 적극적이고 유효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민관협치를 서둘러 가동하기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