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하겠다고 하는 이가 있으면 주변에서 미친 사람이라고 한다. 뭘 하든지 간에 말리고 싶다. 그만큼 자영업자들 상황이 어렵다."

내년도 최저임금이 8350원으로 확정되자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나온 소리다. 물가상승, 가계부채 등으로 노동자의 삶은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최저임금은 반가운 변화로 받아들여졌다. 아쉬운 점은 있지만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는 기대감은 숨길 수 없다.

하지만 자영업자들 앞에 서면 어느 순간부터 괜스레 미안한 감정이 앞서기 시작했다. "적자로 문 닫기 직전이다." 현장에서 만난 자영업자들은 하나같이 절박함을 호소했다. 위기의 자영업자들을 대변하듯이 자영업자 10명이 가게를 새로 여는 동시에, 9명이 문을 닫는다는 통계가 보도되기도 했다. 괜한 앓는 소리가 아니었다.

최저임금 인상 정책의 최대 피해자로 영세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이라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그렇다고 최저임금 수혜 노동자의 잘못으로 돌릴 수 없다. 그저 영세자영업자 또한 누군가의 부모 혹은 배우자, 자녀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정부는 최저임금 확정 후 후폭풍을 잠재우고자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대상 확대 등 후속 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실효성 없는 대책이라고 지적한다.

문정민.jpg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은 2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최저임금 제도 개선 촉구 총궐기대회를 연다. 정부는 들끓는 소상공인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우는 아이 달래기 식 땜질 처방을 벗어나 좀 더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 노동자도 국민이고, 소상공인도 국민이라고 외치는 그들의 절규에 현실을 좀 더 깊이 들여다봐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