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캥거부(父)'라 하는 자작 희칭을 만들어 쓰는 필자의 갑장 친구가 오랜만에 전화를 했습니다. 안부부터 주거니 받거니 하다가 이런 대화가 오갔습니다. "자네 아들 요즘 어찌 지내나? 취업은 했나?" "하긴 했지. 근데 그게 좀 엉뚱해." "뭐, 엉뚱? 어쨌든 낭보잖아. 그럼 '캥거父'는 면했다는 그런 말 아닌가? 그래 어떤 직장에?" "엉? 근데 맘 비우고 하는 얘기니까 자네도 미리 맘 비우고 듣게. 그 녀석 불혹(不惑) 나이가 안쓰러워 내가 '도시광부'로 받아들였다네." "뭐, '도시광부'? 그게 뭔가?" "애비 등골 광산이나 파먹는 그런 광부란 말일세."

영화 <고령화 가족>에 나오는 둘째 아들의 대사! "집을 떠난 지 20여 년 만에 우리 삼남매는 모두 후줄근한 중년이 돼 다시 엄마 곁으로 모여들었다." 삼류 건달 장남, 영화로 인생 말아먹은 둘째, 세 번째 이혼을 앞둔 딸! 그 앞의 '캥거父'는 차라리 행복한 편일까요?

전의홍.jpg

'캥거루족'의 세계적 양산

원인은 나라마다 엇비슷

부모세대보다 좋은 교육

받았다지만 덮친 경제풍파

취업난

불운에 비싼 주거비

그 태산 앞의 백수 천지!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