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중기 전환 계획에 업체들 '준비 철저히' 지적
기업 사전 진단·시스템 공급사 DB 구축 중요성 강조

경남지역 10인 이상 제조업체는 약 7000개사. 이중 대기업·중견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은 약 6000개사다. 지난 21일 경남도가 2022년까지 도내 중소기업 6000개사 중 절반을 스마트공장으로 전환해 '경남의 제조업 르네상스'를 이끌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내놓았다.  

지금껏 해온 정부 주도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보다 단기간에 규모가 큰 만큼 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스마트 공장'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제품 기획과 설계부터 유통·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통합관리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불량률은 감소시키는 '시스템 최적화 맞춤형 공장'을 말한다.

◇주요 내용 = 도에 따르면 도내 10인 이상 제조업체는 약 7000개사이고, 이중 대기업·중견기업은 약 15%를 차지한다. 이를 제외한 중소기업은 6000개사다. 올해까지 지원이 예상되는 스마트공장화 업체는 약 1000개사다. 여기에 도는 내년부터 해마다 500개사씩, 2022년까지 4년간 2000개 업체를 스마트공장으로 탈바꿈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총 3000개가 되는 셈인데, 도내 전체 중소기업의 절반 규모다. 중소벤처기업부가 2022년까지 전국 중소기업의 3분의 1을 스마트공장화하겠다는 계획보다 훨씬 앞선 수치다.

◇다양한 유형으로 스마트공장 구축 = 도는 2000개 중 일반형 1200개, 대중소기업 상생형(동반성장형) 400개, 같은 업종 업체 간 묶는 동종 업종 맞춤형(특화형) 400개 등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눠서 구축하겠다고 했다. 일반형은 기초단계 스마트공장 도입 지원과 이미 구축한 스마트공장을 개선해 고도화(기초→ 중간 1단계 혹은 중간 1단계→중간 2단계)하는 지원으로 나뉜다. 특히 고도화는 업체당 7000만∼1억 원 수준의 지원과 달리 업체당 최대 2억 1000만 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도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지원체계도 구축하기로 했다. 스마트공장 희망기업 진단·분석(사전 컨설팅)에 매년 50개 업체씩 4년간 10억 원을 투입한다. 예산 40억 원(연 10억 원)을 들여 경남TP 내 스마트공장 지원센터를 운영할 예정이다. 여기에 유관기관과 대학과 협의해 스마트공장 전문인력도 양성하겠다고 했다.

이런 계획을 원활히 하고자 8월 말 경남스마트공장민관합동추진협의회를 구성할 예정이다.

◇보완점 = '2000개'라는 수치에 연연하지 말아야 한다는 현장 지적이 적지 않다. 스마트공장 구축 경험이 있는 한 중소기업 대표는 "스마트공장에 대한 오해가 좀 있다. 스마트공장은 그 회사에서 가장 기술이 뛰어난 이들이 현장에서 나올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 이를 ICT와 센서 등의 옷을 입히는 작업이다. 그래서 해당 기업의 준비와 ICT업체와의 지속적인 대화가 중요하다. ICT업체가 와서 프로그램을 까는 수준이 아니라서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구축 뒤에도 계속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만큼 기업 의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다양한 모범 사업장을 발굴해 이를 적극 홍보하고, 스마트공장 구축 뒤 납품단가 조정으로 불이익을 받지 않는 안전장치 마련 등 도내 중소업체의 구축 의지를 높이는 작업도 중요한 셈이다.

이미 구축한 업체들은 사전 컨설팅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번 계획에 포함된 희망기업 컨설팅(진단·분석) 비용은 4년간 10억 원 정도다. 스마트공장은 매년 500개사를 구축하는데, 해마다 업체당 500만 원씩 50개사만 진단·분석한다. 사전 컨설팅 중요성이 다소 간과된 계획이라는 지적이다.

수요업체와 공급업체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김효중 경남ICT협회장은 "스마트공장화가 필요한 업체를 업종별·사업장 규모별로 빨리 파악해야 한다. 또한, 어떤 업체가 어떤 분야 기술을 공급할 수 있을지 도내 안팎 ICT업체 DB 구축도 중요하다. 이 사업이 제대로 되려면 이게 첫 단계"라며 "사업 속도를 높이려면 업종별·규모별 경남 자체 표준화 모델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