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을 통해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낙동강은 온통 녹색천지다. 손을 담그면 금방 진초록 물이 들기라도 할 듯 심한 데다 악취도 예사롭지 않고 푸른 강물은 한 뼘도 보이지 않는다. 식수에 비상이 걸린 것은 여름 들자마자 시작됐지만 폭염이 오래가고 가뭄까지 겹치면서 사태는 악화일로다. 그저께 채집한 개체 수 조사보고를 인용하면 조류 대발생 직전 단계까지 근접한 것으로 드러나 이른 시간 내 충분한 양의 비가 내리지 않으면 돌이키기 어려운 최악의 사태에 직면하는 것은 시간문제다. 상황을 호전시키기 위해서는 보 개방이 필수적인데 환경 당국은 꼼지락거리기만 한다. 안동·임하 등 상류 댐 물을 시험 삼아 소량 방류하고 있을 뿐 하류 보에 대한 확실한 방침을 세우지 못한 채 변죽만 울리는 중이다.

농업용수를 걱정해야 하므로 수문을 완전히 열 수 없다는 정부의 해명은 너무 안이하다. 그렇다면 경남·북과 부산·대구 등 1000만 수계 주민들의 식수대책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고도의 정수처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판에 박은듯한 해명은 정답이 되지 않는다. 만일 약품을 제아무리 투입해도 약발이 듣지 않고 정수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단계로 진행된다면 마실 물의 안전성은 보장하기 어려워진다. 조류 대발생 예고는 그러한 우려를 한층 드높인다. 수돗물 불신 풍조를 부를 것이다. 그때 가서 뒤늦게 모든 수문을 열고 물을 흘려보내도 녹조는 내성이 생겨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을 것이다. 한번 재앙이 닥치면 원상태로 되돌리는 데는 몇 배의 비용과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은 정한 이치다. 중부경남 200만 주민들에게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해야 할 책임 있는 당국자는 김경수 지사와 허성무 창원시장이다. 두 단체장은 낙동강 8개 보의 철거 내지 우선 급한 대로 완전 개방을 정부에 요구해야 한다.

농업용수는 별도 대책을 세워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 될 일이고 식수는 생명과 직접적 연관 선상에 있는 만큼 어떻든 녹조 발생을 차단하는 것이 시급하고도 중요하다. 그 간단한 해결책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조류 기생을 억제하는 것임은 이제 천하가 다 안다. 더 큰 일을 당하기 전에 예방 차원에서의 선제적 대응력을 마련치 않으면 안 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