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녹조 완화' 댐 방류에 환경단체 "무늬만 대책" 비판

정부가 장기폭염으로 사상 최악의 수준으로 확산하는 낙동강 녹조를 완화하고자 낙동강 2개 댐 물을 방류하고 나섰지만 환경단체는 녹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무늬만'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환경부는 낙동강 본류의 정체된 유속을 높여 녹조를 완화하고 유량·유속변화에 따른 보 구간 수질추이를 파악하고자 안동·임하댐과 합천댐에 확보된 환경대응용수 3655만㎥를 지난 14일부터 방류 중이다. 환경부는 이번 방류에 따른 녹조 완화 효과는 녹조가 가장 심한 창녕함안보의 경우 합천댐 물이 도달하는 2~3일 후부터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환경부는 오는 20일을 전후로 녹조가 올해 최대치를 보일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댐 방류를 시작했다. 그러나 환경부 기대와 달리 환경단체는 낙동강 상류댐 방류는 일시적인 대책일 뿐 근본 대책이 될 수 없으며 효과도 미비할 것으로 진단했다. 환경단체는 녹조 해결을 위해 필요한 초당 2000t의 방류가 필요한 시점에서 박근혜 정부가 낙동강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해 추진했던 펄스형 방류와 다를 바 없다고 설명했다.

123.jpg
▲ 지난 15일 낙동강 본포취수장이 녹조로 가득 덮였다. /낙동강경남네트워크

임희자 낙동강경남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은 "유량과 유속 변화를 위해 댐에 가둬뒀던 환경대응수를 방류하지만 턱없이 부족한 수량이다. 상류댐 환경대응수를 활용해 낙동강 물 흐름을 개선하려면 초당 2000t의 물이 유입이 돼야한다. 그래야 본류 전 구간에 있는 물이 섞여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러나 이번 대책은 박근혜 정부에서 보여준 녹도 대책과 다른 게 없다"고 했다.

지난 2015년과 2016년에도 낙동강 녹조 문제가 심해지자 펄스형 방류를 한 바 있다. 펄스형 방류는 보 안에 있는 물을 흘리는 것이다. 당시 펄스형 방류에도 낙동강 남조류 세포 수는 오히려 늘어나는 등 효과를 내지 못했다.

123.jpg
지난 15일 낙동강 본포취수장 부근이 온통 녹조로 뒤덮인 모습. /낙동강경남네트워크

임 위원장은 "펄스형 방류와 보와 댐의 차이만 나지 거의 유사한 방법이다. 댐에서 방류하는 하루 물의 양이 적어 녹조를 해결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했다. 또 그는 "농업용수 공급 등으로 어쩔 수 없다는 정부 처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나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한 방류라기보다 보여주기식 행정에 그쳐보인다"며 "수문개방을 이용한 근본적 녹조 대책을 펴야 할 시기다"고 했다.

정부는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가뭄과 녹조 대응'을 심의·확정한 가운데 녹조 완화를 위해 10월께 4대강 보 개방 확대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