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특검 출석부터 9일까지 여름휴가를 하였던 김경수 지사가 조사 사흘 만인 9일 다시 특검에 소환된다. 물론 지난 6월 지방선거 이후 경남도정에 공백이 발생한 적이 없었지만, 특검이라는 돌출변수를 겪으면서 경남도정 역시 가속도를 붙여야 하는 시험대에 들어서게 되었다.

전임 경남지사와 달리 경남지역경제가 가장 어려운 시기에 김경수 도지사는 도정을 책임져야 한다. 조선업의 위기는 경남지역 경제의 단편적 편린이 아니라 미래의 예고편이 아닌가 하는 날 선 지적이 있다. 물론 이런 평가를 지나친 공포심 조장이라고 폄훼해서는 곤란하다. 왜냐면, 조선업의 위기는 시장의 경기순환에 따른 결과만이 아니라 정부의 위기관리 능력 부재로 인해 증폭되고 확대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산업위기 당시의 정부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위기를 키운 우둔함을 김경수 도지사의 경남도는 반드시 유념해야 한다. 

물론 이미 일이 저질러져 있다 보니 후임자에겐 단 몇 번의 기회로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현실이 그렇다 보니 좌고우면하면서 숨 돌릴 여유조차 제대로 가지지 못하면서 순간순간마다 위기관리능력을 제고해야 한다. 바로 이런 발 빠른 조치가 가능하게 하려면 행정조직의 혁신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즉, 행정력은 현장의 위기감을 고스란히 전달하는 구동장치이면서 동시에 대책도 준비하고 실행의 책임을 지닌 조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저 시류에 따르면서 눈치로만 판단하는 관료주의를 척결하려면 김경수 지사의 특별한 무언가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그동안 관료들이 보여준 관성적 행위와 타성적 사고방식은 어쩌면 지도자의 무식과 무능에서 비롯될 수는 있다. 새로운 사업이라곤 제대로 하지도 않으면서 그저 채무 제로라는 자랑만 일삼았던 지난 행정부의 과오를 이젠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 중앙정부의 예산편성에만 기댄 복지사업이 아니라 지자체가 독자적인 복지사업을 할 수 있는 사업 아이디어를 모으고 실행하는 능력을 제대로 키워야 한다. 경남도가 하려는 사업을 차분하게 정비하다 보면 새로운 사람을 조직에 배치하는 인사문제 역시 좀 더 쉽게 해결될 가능성이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