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주주의 전당 건립을 두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행정안전부가 엇박자를 내고 있다. 과거 역사적 상징성과 민주도시로서 정체성을 지닌 서울·광주·마산에 삼각 축으로 민주주의 전당을 건립하겠다는 내용의 협약이 사업회와 3개 도시 간에 체결되었지만, 정부 동의를 얻지 못해 무산됐다. 다행히 올 6·10항쟁 31주년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옛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에 '민주인권기념관'을 조성하겠다고 언급하면서 전당을 둘러싼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사업회는 문 대통령이 6·10항쟁 31주년 기념사에서 설립하겠다고 한 남영동 대공분실 '민주인권기념관'이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에 따른 '민주화운동기념관'(전당)이라는 입장이다. 반면 행안부는 민주인권기념관을 사업회법에 따른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업회와 행안부가 엇박자를 내는 가운데 광주는 민주인권기념관이 전당 역할을 하리라 보고 유치를 포기하고 대신 '민주인권기념파크'를 조성하기로 했다. 시 사업에서 정부 사업으로 격상시켜, 콘텐츠도 민주주의 전당이 유치됐을 때 담고자 한 내용을 활용한다는 방침을 잠정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창원시는 사업회와 행안부가 민주인권기념관을 사업회법상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삼겠다는 확언을 하지 않아 유치 노력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행안부는 민주인권기념관이 '민주화운동기념관'이라는 사업회의 견해에 대해 아직 부처에서 민주인권기념관을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확정한 건 아니라고 밝혔다.

그렇다면 사업회가 일방적으로 미리 민주인권기념관을 사업회법에 따른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확정하고 창원시에 통보했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참에 사업회와 세 도시 간 2013년 협약 체결과 2015년 파기 과정에 있었던 논의들도 따져봐야 한다. 시가 딴소리를 하고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도 하루빨리 행안부를 포함한 관련 기관을 통해 명확한 방침을 확인하고, 3·15기념사업회 등 시민사회와 경상남도와 창원시가 힘을 모아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나아가 해양신도시 등에 민주성지 창원에 걸맞은 사업도 준비할 때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