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개최 무료화 시민공청회서 신용민 교수 주장
"입장료 없애면 예산 추가 필요하지만 이익 더 클 것"

진주남강유등축제가 유료화보다 무료화로 얻은 경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진주시가 남강유등축제를 무료화로 전환하려는 가운데 '축제장 입장료 무료화 방안 시민공청회'가 26일 오후 2시 시청 시민홀에서 열렸다.

공청회에는 문화예술단체·시민·공무원 등 300명 정도가 참석했다. 신용민 경상대 교수가 '남강유등축제 입장료 무료화'를 주제로 발표하고, 허정림 진주시의회 기획문화위원장·이재달 한국국제대 교수·김태영 경남발전연구원 사회가족연구실장·이춘환 한국외식업중앙회 진주지부 사무국장·이수경 진주YMCA 시민활동국장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신용민 교수는 "유료화 정책의 핵심 이유가 재정문제였다"라며 "특정 축제에 대규모 예산을 투입하는 것에 대한 시 당국 또는 시민 사이에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며 앞으로 부분적인 재정조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70869_436340_5243.jpg
▲ 진주남강유등축제./경남도민일보DB

이어 "올해 6억 원의 유등축제 지원금이 책정돼 있으며 추경을 통해 14억 원 이상 늘어난 예산 증액을 감수해야 한다"며 "축제 예산이 40억 원으로 늘어난 것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 시는 매년 최소 20억 원 이상의 예산 투입이 불가피하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무료화로 말미암아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해 "무료화로 발생하는 20억 원 정도의 추가 예산투입은 그 이상의 경제적 효과가 진주시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신 교수는 "입장료가 없었던 2014년 약 600억 원에 달하는 직접경제효과를 보인 반면 유료화 3년차인 2017년에 직접경제효과가 500억 원을 약간 넘긴 수준"이라면서 "2014년 대비 2017년에 14억 원 정도의 예산을 절감하면서 100억 원에 달하는 직접경제효과를 포기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축제 콘텐츠 개발과 부분 유료화에 대해서는 "무료화 이후 부족한 예산으로 축제 내용의 부실화를 방지하고 유료화 때보다 질적·양적으로 향상된 축제가 돼야 하는 숙제를 안았다"라면서 "지속가능하고 성공적인 축제를 열려면 고품질의 축제 콘텐츠 개발과 일정 부분 자체 수익을 창출해내는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무료화는 천수교에서 진주교 사이의 축제장 입장 무료화를 의미하므로 '입장료 무료'로 용어 정리를 해야 한다"라며 "입장료 징수 이전에도 축제 콘텐츠의 일부분은 유료였고, 무료화이던 2014년에 재정자립도는 43%로 국내 최고수준이었다"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축제콘텐츠로 △ 랜턴 페스티벌로 유명한 외국 도시들과 등불·유등·조명 콘텐츠 상호교류전시를 추진하고 △혁신도시 공공기관 및 진주연고 대기업의 홍보 및 공익광고 유등 유치 △ 진주의 특색을 살리는 소망등 제작 △유등·등불을 응용한 소품개발 △10월 축제가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융·복합적 콘텐츠 개발 △디지털과 뉴미디어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 △국내외 수준 높은 기획공연 초청 △조명 및 등공예 갤러리 조성 또는 판매 등을 제시했다.

김태영 소장은 "무료화하면 입장료로 내던 1만 원이 진주에 뿌려질 것인가와 더 많은 관광객이 올 것이냐를 고민해야 한다"면서 "만약 무료화를 확정하지 않았다면 기존처럼 1만 원 입장료를 받고 지역 상품권으로 돌려줘서 지역에서 그 돈이 쓰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연구했으면 한다"라고 밝힌 뒤 "예산 때문에 축제의 질이 떨어지거나 부실해질 가능성이 있어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