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은 2014년 무상급식 중단사태를 경험했고, 이에 따른 다양한 갈등이 때로는 격렬하게 폭발하기도 했지만, 때론 잠복하는 형태로 계속되고 있다. 물론 무상급식 중단이라는 경험은 학교급식의 확대라는 반대 방향으로의 진자운동을 강화시킨 측면도 있다. 그럼에도, 학교급식을 둘러싸고 제기되는 다양한 문제나 지적을 경청할 필요는 있지만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보아서는 오히려 곤란하다.

학교급식의 질 문제를 두고 나오는 불만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오히려 비슷한 문제 제기가 끊이지 않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먼저 경남에서는 학교당 급식비 책정에서 빚어지는 구조적인 한계가 실제 있다. 학교의 학생 수가 많을수록 1인당 식료품비와 재료비가 싸지는 구조로 급식비가 책정되기 때문이다. 학생이 적은 학교에서는 높은 급식비에도 불구하고 급식의 질이 나쁠 개연성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급식비가 비싸다고 맛도 나을 거라고 단정하기 곤란하다는 점이다. 또한, 현행 식품비 단가 책정을 위한 학생 수당 구간 설정이 지나치게 넓어서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보니 앞으론 좀 더 세분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는다. 다음으론 학교급식의 질이 영양사나 급식 조리원의 실력에 따라 현격히 차이가 나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급식 관련 노동자들의 성의나 노력의 문제가 아니라 업무 능력에 따라서 맛과 질이 결정되는 특수한 사정이 많이 작용한다는 점이다. 게다가 급식 노동자들의 열악한 근무조건이나 과도한 업무량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도 세우지 않고 그저 성의 있는 노동을 해 달라는 부탁은 정말 공염불일 뿐이다.

부실한 급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대책마련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런 다양한 문제 제기에서 가장 핵심은 현장의 목소리일 수밖에 없다. 왜냐면, 학교급식 관련 종사자 중에서 어느 누구도 불순한 의도를 가지고 맛없는 음식을 만들려고 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주어진 조건과 현실에서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려고 하지만 뜻대로 되지 못하는 부족함을 채우는 방향으로 문제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모두의 자식이 먹는 게 학교급식이라는 사실을 더욱 강조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