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용역안 채택 유력, 경남도내 환경단체 강력 반발
수질관리·안전문제 지적

부산시가 남강댐 물을 도수터널(대형관로)을 이용해 합천댐으로 옮긴 뒤 이를 부산의 식수로 사용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면서 '남강댐 물 부산공급'이라는 해묵은 논란이 또다시 일 조짐이다. 민선7기 출범 후 경남과 부산이 '남강댐 물 부산공급' 문제로 말미암아 갈등 국면으로 접어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부산시상수도사업본부는 지난 19일 '제3차 먹는물 정책 원탁회의'를 개최한 바 있는데, 이 자리에서 1년 2개월에 걸쳐 진행된 '취수원 다변화를 위한 수자원 확보방안 조사 용역'이 발표됐다. 부산시 인수위원들 역시 대거 참여하는 등 비상한 관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용역 자료에는 10여 개에 이르는 부산시 취수원 다변화 계획안이 소개돼 있는데, 그중에서도 '남강댐·합천댐 도수터널 연결'과 '낙동강 인공습지 조성'이 부산시의 정책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283662_217337_5957.jpg
▲ 남강댐./경남도민일보DB

'남강댐·합천댐 도수터널 연결' 방안은 남강댐물의 여유 수량을 합천댐까지 도수터널을 통해 옮긴 뒤 두 댐의 물을 부산시 식수로 활용하자는 방안이다. 이렇게 되면 하루 86만t에 이르는 식수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용역을 총괄한 '한국종합기술'은 집중호우 시 남강댐 방류수가 인공방수로를 통해 가화천과 사천만으로 유입됨으로써 여러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들며, 강우 시 가화천으로 방류되는 수량을 합천댐과 연계시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경남환경운동연합·지리산댐백지화 함양대책위·진주진보연합 등 도내 거의 모든 환경단체들은 24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환경문제와 남강댐을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서부경남은 안중에도 없는 발상"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들 단체는 "남강댐의 수자원관리와 수질 관리 측면에서 엄청난 재앙이 초래될 것"이라며 "결국 (무효방류량을 사용한다고는 하지만)남강댐은 갈수기를 대비해 안정적인 물공급을 위해 항상 수위를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며, 댐 운영상 안전을 비롯한 많은 문제들이 도출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도내 환경단체들은 비단 '남강댐·합천댐 도수터널 연결' 방안뿐 아니라 부산 물공급을 염두에 둔 남강댐 수량 확보 차원의 '지리산 홍수조절댐' 등이 계속해서 거론되는 자체가 문제라는 데 방점을 찍었다.

이들 단체는 "결국 낙동강 수질 악화로 부산시민의 먹는 물 불안이 지리산댐 건설 주장의 시발점이었고, 이번에 다시 나온 (도수터널) 공급계획 역시 지리산댐 건설 계획과 다름없는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남강댐 물 부산공급 계획을 세우기보다는 낙동강 수질 개선에 경남·부산·울산지역 민주당 소속 자치단체장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터져나왔다.

진주환경운동연합 이환문 의장은 "우리가 4대 강 사업을 반대한 건 낙동강이 1000만 영남인들의 식수원이었기 때문이다. 4대 강 반대 운동에는 민주당 역시 누구보다 앞장섰다. 그런데 (낙동강 수질 개선이 아닌 남강댐 물 부산공급을) 부산시 인수위 단계에서 검토하고 있다는 게 어처구니 없다"고 밝혔다. "낙동강을 살려서 안전한 식수를 지속 가능하게 공급하는 걸 심각하게 고민해야할 시점"이라는 것이다.

한편, 일부 언론 보도를 통해 경남도와 부산시가 '남강댐·합천댐 도수터널 연결' 방안을 공동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진 데 대해 경남도는 "사실무근"이라고 못박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