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대방동과 김해시 진례면을 연결하는 비음산터널 건설계획은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점을 갖고 있다. 산밑을 뚫어 도시와 농촌을 이어주는 가교가 되기 때문에 쌍방이 환영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창원시가 일방적으로 반대 측에 섰다는 것이 다르다. 자본을 투자하겠다는 민간기업이 없지도 않고 더구나 김해 쪽에서는 하루빨리 개설해 주민들에게 교통편의를 제공하고 양 지역 산업발전을 위한 견인차로 만들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지만 10년이 넘도록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터널이 개통되면 김해로 옮겨가는 시민이 늘어나 자칫 도시공동화 현상이 빚어질지도 모른다는 창원시의 우려가 불식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군색한 핑계 같지만 해마다 인구유출이 조금씩 일어나는 현실을 놓고 보면 창원시의 방어적 인구정책을 마냥 탓할 수만은 없다.

김경수 지사가 관련하여 건설의 시급성을 강조하는가 하면 야권이 신중론을 주문하는 등 여전한 견해차를 드러내면서 비음산터널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김 지사가 김해지역 국회의원으로 활동한 경험상의 소신이 터널 조기 개통으로 굳어진 것은 아닌지 알 수 없다. 원칙적으로는 자연훼손을 최대한 제한하면서 물물교류나 문화소통을 쉽게 하는 터널의 존재가치를 부정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터널과 새 도로가 생기면 혼잡해져 다니기가 불편해질 것이라는 주장은 별로 설득력이 없다. 교통대책만 제대로 세운다면 그건 기우에 불과할 것이다. 지금까지 불가론의 주된 배경인 인구 추이에 대한 불확실성이 이번에도 발목을 잡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그러나 전과는 여건이 많이 달라졌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관건은 창원의 일자리 사정과 정주 환경이다. 취업하기가 쉽거나 역내 경제가 잘 돌아가면 빠져나가는 젊은 인구를 붙들어 앉힐 수 있을 뿐 아니라 오히려 외지 인구를 유인할 수 있어 논란은 무의미하게 된다. 지금까지 대책 없이 바라만 보고 있었던 태도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시발전 전략을 병행하면서 추진한다면 반대 명분도 사라질 것이다. 김 지사와 허성무 창원시장이 공동보조를 취해 그 같은 선행적 상생 지표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오래돼 생산성이 약화한 기계공단을 현대화에 맞게 개량하는 노력도 하나의 방법론으로 상정될 수 있을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