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대량 해고사태가 벌어진 지 10년이다. 2009년 쌍용차 정리해고 사태 이후 30번째 사망자가 나왔다. 지난달 27일 경기 평택시 독곡동 야산에서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김주중 해고자가 숨진 채 발견됐다. 아내에게 "미안하다 먼저 가겠다"는 문자를 남겼다. 그는 쌍용차 파업 당시 선봉대 역할을 하며 파업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된 뒤 집행유예로 출소했으며 이후 생활고를 겪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정리해고에 맞선 조합원들은 이명박 정권의 폭력적 진압과 경찰의 24억 손해배상 청구로 극심한 심적 고통에 시달려왔다. 또, 대법원의 재판거래에 따른 정리해고 패소, 쌍용차 사측의 해고자 복직 약속 위반이 해고 조합원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다.

쌍용차 해고는 먼 이야기가 아니다. 창원공장에서 일하던 18명도 2009년에 해고되고, 그사이 창원에서도 4명이 유명을 달리했다. 희망퇴직을 했던 2명이 스스로 생을 마감했고, 해고 이후 복직 투쟁을 벌이던 2명도 암과 심근경색으로 세상을 떠났다. 비극의 시간은 질겼다. 복직도 2016년 2명, 2017년 2명, 올해 4월에 3명 등 지금까지 7명에 그쳤다. 남은 9명은 창원공장 앞에서 1인 시위를 이어가며 복직 투쟁을 하고 있다. 최근 금속노조 쌍용차지부는 해고자 복직을 위해 사측과 계속해 협상 중이었으나 아직 이렇다 할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쌍용자동차 문제는 단순히 회사와 해고자의 문제로만 볼 수 없다. 관련된 수많은 사람들이 직간접적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다. 김주중 해고자의 자살은 사회적 타살이다. 우리 사회가 그를 삶의 벼랑 끝에서 내밀었다. 온 사회가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 특히 정부는 종교단체의 공동기자회견에 귀 기울여야 할 때다. 종교인들도 사측, 기업노조, 해고당사자들을 차례로 만나 문제해결을 위해 지혜를 모아 왔다. 그래서 지금은 정부가 직접 나서서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다. 촛불정부가 만들어진 까닭은 노동이 존중받고 사람이 존중받는 사회가 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정부는 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손배소를 철회하도록 해야 한다. 완전한 노동3권 보장으로 더이상 같은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