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소권 쥔 검찰 수사 배제는 문제
검찰 부정 경찰 수사권 보완해야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왔던 검경 수사권 조정안이 발표되었는데, 그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이 경찰이 검사의 지휘를 받지 않고 수사하고, 종결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검사지휘를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수사권을 행사하는 것은 경찰의 숙원이지만 검사의 수사지휘권 폐지가 법리적, 현실적으로 어떤 문제가 없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첫째, 기소권을 가진 검찰의 법리 판단이 수사 단계에서 배제되는 것은 사법적 원칙이 훼손될 수가 있다. 검사가 수사하지 않는 사건의 피의자를 기소하고, 수사하지 않는 사건에 원고가 되어 피고의 단죄를 요구하는 것은 피의자 인권보호와 법리에 문제가 생길 수가 있다.

둘째, 경찰이 검사의 수사지휘 없이 사건을 수사하고, 종결할 수 있는 사법적 능력이 있는가 하는 것이다. 혹자는 경찰이 전체 형사사건의 90% 이상을 수사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그런 주장은 외형만 보고 판단하는 것이다.

경찰은 선거, 공안 등 중요사건은 물론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사건은 초기부터 법률적용, 수사방향, 입건 여부 등에 대해 일일이 검사의 지휘를 받고 있다. 물론 경찰대학 출신뿐만 아니라 일반 경찰의 법률지식이 많이 향상돼 단순한 형사사건은 경찰의 법리판단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마약, 조직폭력 등 우범자 동향을 파악하고, 한 방울의 작은 흔적에서 범인 DNA를 채취하거나 쪽 지문 하나로 범인을 검거하는 등 수사기법은 세계최고 수준이지만 경찰은 법률전문가가 아니다. 범인에게 어떤 법령을 적용할 것인가? 범죄 시효는 완성되었는가? 관련범죄에 대한 판례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등의 난해한 판단은 검사의 지휘를 받는 것이 국민 인권보호에 소홀함이 없을 것이다.

셋째, 연간 250만 건이 넘는 형사 사건 중 10%가 검찰에 직접 접수되는 것은 국민의 경찰수사에 대한 불신 때문이다. 대검찰청 자료에 따르면 경찰이 기소의견으로 송치한 사건 중에 매년 3만여 건이 검찰에 의해 불기소, 혐의 없음, 각하 처분되는 것은 수사미진과 법리적용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2016년 한 해 동안 경찰이 인지 수사한 120만 건 중에 17만여 건이 무혐의 처분되었다. 17만 명의 죄 없는 사람이 경찰에 불려가 조사받은 것인데, 만약 정부안대로 수사권이 조정되면 무고한 시민이 기소되고, 그 반대로 범죄자가 무혐의 처분받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끝으로, 문재인 대통령께서 검찰총장을 만난 자리에서 "왜 같은 사건을 두 번씩 조사해야 하나"고 말한 것은 경찰수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보인다. 연간 250만 건이 넘는 형사사건을 처리하는 검찰이 같은 내용을 조사하고 싶어서 하는 것이 절대 아니다. 경찰에서 수사한 내용이 미흡하고, 진술조서 작성에 허점이 있어 다시 조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오수진.jpg

따라서 경찰은 검사의 지휘를 받아 수사하도록 하고, 다만 검찰의 부정은 경찰이 성역 없이 수사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해야 검찰이라는 절대 권력을 견제할 수가 있을 것이다.

검찰과 경찰은 독자적인 인사권을 행사해야 정권의 눈치를 보지 않고 수사권을 행사할 수가 있다. 그렇게 되었을 때 비로소 국민의 법익과 인권을 보호할 수 있고, 사회정의를 구현할 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