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십 수년 전만 해도 팝송이 판을 치던 우리나라 음악시장은 우리나라 노래로 가득 찰 정도로 풍경을 달리하고 있다. 물론 음악시장의 70~80%가 10대 취향으로 편향돼 있다는 문제점이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과거 외국노래가 판치던 세상에 비하면 장족의 발전이라 아니 할 수 없다.
2001년 우리나라 음악시장은 대략 3733억원 규모로 파악되고 있다. 2000년의 시장규모가 4104억원이었으니 약 400억원 가까이 시장규모가 줄어든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인터넷의 보편화에 따른 MP3 음악시장이 기존의 음악시장을 잠식한 측면이 없지 않다. 지난해 미국의 ‘Napster’와 우리나라 ‘소리바다’의 무료 다운로드 행위에 대한 뜨거운 논쟁도 차츰 인터넷 음악에 대한 저작권이 서서히 형성돼가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물론 ‘벅스뮤직’과 ‘푸키’와 같은 대규모 스트리밍 음악 사이트들은 아직도 저작권 사각지대로 남아 있긴 하지만.
그러나 인터넷이 음악시장 위축의 원죄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인터넷시장의 일정한 잠식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음악시장규모가 8000억원까지는 성장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10대뿐만 아니라 지금은 음악시장에서 소외돼 있는 20대와 30대를 끌어들일 수 있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 풀어야 할 문제가 있다.
역시 음악시장의 10대 편향성을 어떻게 해소할 것이냐의 문제가 우선적으로 대두된다. 지난 해부터‘문화개혁시민연대’를 중심으로 펼쳐진 가요순위프로그램 폐지운동도 음악시장의 10대 편향성, 혹은 댄스음악 편향성을 시정하기 위한 캠페인이었다. 이 운동의 핵심은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채널을 다양화해 10대가 아닌 사람들도, 댄스음악광이 아닌 사람들도 ‘자기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하자는 것. 덕분에 방송사 음악프로그램에서 순위매기기가 약화되고 있는 추세다.
유통시장 또한 투명해져야 한다. 우리나라 유통시장에서는 불투명하고 혼란스러운 유통구조 덕분에 음반가격 중 물류비용이 선진국에 비해 30% 이상 과다 지출되고 있다 한다. 거기에다 인터넷 매체가 등장하면서 가격경쟁력을 상실한 음반소매상이 IMF이전 1만여개에서 2001년말 현재 2500여개로 줄어들었다. 무리한 가격경쟁을 하다보니 세금을 피하기 위한 무자료 거래가 성행해 정확한 시장동향이 파악되지 않고 있고, 때문에 업체건 정부건 효과적인 전략수립이 애초에 불가능한 상태다. 최근 정부가 258억원을 융자키로 약속한 유통현대화사업도 업체참여율이 저조해 난관에 봉착했다는 소식이다. 이처럼 유통시장이 투명해지지 않는 이유는 그로 인한 이득이 분명치 않아서다. 분홍빛 미래를 믿기에는 현실이 너무도 팍팍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부분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책집행자와 업계가 서로 신뢰하고 힘을 모으는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소비자인 우리는. 오랜만에 음반가게를 찾아 맘에 드는 음반이라도 하나 구입해보면 어떨까.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