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더불어민주당 출신 경남·부산·울산의 김경수·오거돈·송철호 광역단체장 당선인들은 상설 형태의 '동남권(경·부·울) 공동협력기구'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이 기구에선 동남권의 교통문제를 다룰 광역교통청 신설, 맑은 물 확보를 위한 공동노력, 광역혁신경제권 구성, 신공항 건설을 위한 전담팀(TF)을 구성하여 동남권이 지닌 공통의 문제를 다룰 예정이다.

우리나라에서 동남권은 수도권에 대적할 수 있는 유일한 권역이다. 물론 인구나 지역총생산액을 놓고 보면 동남권은 수도권에 훨씬 못미친다는 지적이 나올 수도 있지만, 한국의 대표적 제조업체들이 바로 동남권 공업벨트에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동남권 공업지역이 지닌 근본적 취약점으로 산업생산을 지원하는 서비스 기능의 부족과 인적·물적 이동과 유통을 위한 교통 네트워크의 한계가 지적됐다. 그중 교통 문제는 광역지자체로 행정구역이 나뉘면서 지리적인 인접성이란 장점이 오히려 구조적인 한계이자 약점으로 둔갑했다. 광역단위를 뛰어넘는 발전전략은 오로지 중앙정부의 몫으로 치부됐다. 그동안 중앙정부는 문제해결의 시급성을 이유로 선택과 집중의 원칙을 내세우며 구체적 사업실행이나 배치는 거의 수도권으로 편중시켰다. 동남권 단체장들은 그간 이런 문제를 뻔히 보면서도 자신들의 입장만 강변해 왔다. 따라서 이런 한계와 문제를 이젠 극복해야 한다는 신임 단체장들의 입장 표명은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하지만 긍정적 평가만으로 사업의 실행력을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다.

동남권 협력기구에서 초점을 맞추는 사업인 신공항 건설 사업은 기존의 김해공항 유지라는 중앙정부 정책과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또 다른 예를 들 수 있는 사업은 동남권 전철화 사업이다. 수도권은 이미 충청권까지 전철이 연결되어 있지만 동남권은 기획조차 제대로 못하고 있다. 따라서 광역단체들이 중앙정부와 맞서서 자신들의 의지를 관철하려면 우선 공동협력기구부터 있어야 한다. 구체적 사업실행을 위한 공동 협의와 결정이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향후 동남권 발전전략을 더욱 세밀하게 만드는 실천이 반드시 따라야 한다. 그래야 수도권 집중에 제대로 대응하는 지역발전전략을 세울 수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