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 수학여행을 앞두고 일부 학교에서 추진하는 국외 수학여행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외국으로 수학여행을 떠나는 추세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일부 외국어고등학교에서 추진하면서 한동안 늘어났다가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줄어드는 추세다. 경남도교육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으로 수학여행을 떠난 학교는 857개 교 중 20개였다.

2008년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세계 관광시장에서 청소년 여행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국제 청소년 교류가 느는 점에 주목하여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방한 청소년 수학여행 유치 확대를 정책 과제로 내놓은 바 있다. 외국의 청소년들이 한국을 찾는다면 한국 학생들의 국외 수학여행도 자연스럽다. 세계화의 흐름에 맞추어 학생들이 견문을 넓히고 국제적 감각을 익히는 차원에서도 국외 수학여행은 바람직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문제는 역시 비용이다. 2016년 도내 한 중학교가 일본의 교토, 오사카 일대에서 2박 3일간 계획한 수학여행 비용은 90여만 원이었다. 중산층 가정이라도 학부모에게 부담이 안 될 수 없는 비용이다. 일부 학교에서는 올가을에 국외 수학여행을 가려고 달마다 여행비를 적립하고 있다고 하니 이렇게 하면서까지 나라밖 수학여행을 추진해야 하는지 의문이다. 그나마 비용의 40% 이상은 항공료 등 교통비가 차지하므로 비용이 합리적인지도 회의적이며, 학생들의 안전 문제에 대한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도교육청도 특별한 교육적 목적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국외 수학여행을 가급적 자제하라고 각급 학교에 권고한 상태다.

이런저런 난점이 있음에도 국외 수학여행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은, 현행 수학여행이 획일적인 데 원인이 있다. 교육과정과 결부되지 않고 관광에 치우치는 수학여행은 국내보다 국외가 선호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소규모·테마형 수학여행이 이에 대한 대안으로 선보인 지는 이미 오래되었다. 학생들이 소규모를 팀을 이루어 여행지를 선택할 수 있거나, 일정한 주제에 맞춘 여행지로 떠나는 경우가 일부 학교에서나마 진행되고 있다. 도교육청에서 교육적 효과도 뛰어나고 학생들의 흥미도 이끌어내는 수학여행 매뉴얼을 개발하기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