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연중 쉼 없이 도시 곳곳에서 이루어지는 도로 공사가 주민 원성을 받은 지 오래다. 소음과 먼지 등으로 인근 주민이나 행인들은 큰 불편을 겪는다. 환경부 조사에서 건설기계는 전국 미세먼지 배출원 중에서 2위를 차지한다. 건설기계가 내뿜는 비산먼지는 도시 환경을 악화하는 대표적인 주범으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예산 낭비 우려가 적지 않았다. 회계연도 마감에 즈음하여 겨울철마다 빈번히 이루어졌던 보도블록 교체 공사는 다소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도시는 일 년 내내 공사 중이다. 물론 주민의 삶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은 해야 하지만, 세금 낭비와 무관한 공사가 얼마나 되는지는 따져 볼 필요가 있다.

반복되는 공사 중에는 처음 공사가 부실했기 때문에 거듭 손을 보지 않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지난해 시작한 창원시 마산합포구 오동동 일대 불종거리가 대표적이다. 창원시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는 차량으로 정체된 이 일대를 보행자 위주의 '걷고 싶은 거리'로 만들려고 예산 15억 원을 들여 보도를 자연 돌로 바꾸었다. 그러나 완공 6개월이 지나지 않아 보도블록 균열 등의 이유로 여러 차례 보수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주민들 말에 따르면 벌써 4차례 이상의 보수 장면을 목격했다고 한다. 먼지, 소음, 부실공사 의혹 외에도 주민들은 보도블록을 친환경적으로 바꾸는 것으로 보행권 확보가 가능한지 의문을 제기한다. '걷고 싶은 거리' 만들기 사업은 서울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유행처럼 번진 것으로 도시재생사업의 인기 아이템이다. 주민 보행권을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심공동화로 위기를 겪는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목적을 띠고 있다. 다른 지자체에서 성공한 사업이라고 해서 창원시가 충분한 검토 없이 서둘러 모방하지는 않았는지 의문이다. 애초 1년에 미치지 못한 사업기간이나 주민 여론 수렴이 충분하지 못했다는 의혹이 이런 의문을 일으킨다.

도시 계획은 한 번 잘못 손대면 돌이킬 수 없는 폐단을 가져온다. 지자체가 불필요한 사업을 못하게 하고, 사업을 확정하더라도 첫 삽을 뜨기까지 면밀한 검토와 소통이 필요하다. 주민들의 감시와 참여만이 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시군 단체장이 대폭 교체된 지금이 기회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