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지방선거는 더불어민주당의 대약진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보수의 텃밭으로 불려온 경남도 예외가 아니었다. 민주당은 도의회 58석에서 34석을 차지했고, 264석의 시군의회에서는 104석으로 133석의 자유한국당과 균형을 이뤘다. 19석의 단체장 선거는 한국당이 우세했지만, 민주당은 경남도를 비롯하여 창원, 통영, 김해, 거제, 양산 등 대도시 중심으로 8곳을 석권했다.

도와 시군의회에서 민주당이 약진함에 따라 한국당의 일당 독점이 마침내 깨졌다. 30년 넘게 보수정당의 절대적 우위에서 전개된 일방적 의정은 마침표를 찍었다. 의회의 본질인 견제와 균형의 정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 점에서는 이번 선거의 큰 성과다. 그러나 수치만으로는 지방정치의 본질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지방선거에서 민주당과 한국당 후보들의 공약에서 차이점을 찾기는 어렵다. 도의회에만 국한하더라도 민주당 당선인들은 두 사람을 제외하면 모두 초선이다. 민주당 간판을 달고 선출된 이들 중에는 한국당 출신이거나 보수정당 문을 두드린 이들도 적지 않다. 이 점에서 민주당을 견제해야 할 세력은 진보정당이지만, 의회권력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보정당은 크게 위축되었다. 지난번 선거에서 기초·광역의원 9명을 배출한 진보정당은 이번 선거에서 5명으로 줄었다. 낙선자 대부분은 활발한 의정활동을 통해 소수정당의 한계를 넘었던 현직 의원들이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크다. 이번 선거의 최대 피해자는 한국당이 아니라 진보정당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정의당의 정당 지지율은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지난 20년간 울산과 더불어 동남권 진보벨트를 이뤘던 진보정치 지도도 유효하지 않다. 민주당의 바람이 워낙 거세긴 했지만 진보정당의 뼈아픈 쇄신이 요구된다.

경남의 의회권력 교체는 촛불집회가 촉발한 박근혜 정부의 몰락과 문재인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에서 기인한 측면이 크다. 검증 없이 당 간판 덕을 보았다는 비판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민주당과 당선인들의 분발이 필요하다. 풀뿌리 민주주의 발전을 기조로 삼고 김경수 도정에 대한 견제와 감시, 야당과의 대화와 협력의 태도로 의회를 이끌기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