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에 농촌지역 출마자들은 애가 탄다. 선거구 면적은 넓고 발이 닳도록 들로 논으로 쫓아다녀도 농번기에는 유권자 만나기가 하늘의 별 따기보다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도서지역은 말할 것도 없다. 어민들이 많은 선거구에서는 다만 몇 명이라도 유권자들을 만나려면 배를 빌려 타고 조업현장까지 찾아다녀야 하니 품이 보통 드는 게 아니다.

특히 농어촌 지역 기초의원 출마자들은 말이 좋아 풀뿌리 민주주의이지 실제로 겪는 애로사항은 한둘이 아니다. 자치단체장들은 그나마 언론을 통해서 얼굴 알리기도 하고 정책홍보도 한다지만 기초의원들은 유세나 공보를 제외하고는 직접 발로 뛰는 수뿐이 없다. 유세도 차량을 가지고 논두렁이나 섬을 일일이 돌아다닐 수도 없으니 기껏해야 장날이나 면사무소, 버스터미널 등 왕래가 잦은 장소에서 유세를 하는 정도다. 마을마다 돌아다니면서 마을회관이나 경로당을 찾아다니는 게 상책일 수 있다. 이러다 보니 정책은 겉치레로 흐를 수밖에 없고, 주로 안면이나 인맥으로 승부를 겨루게 된다. 참여, 자치와는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지방선거 일정이 한창 농사일이 바쁠 철이라 출마자나 유권자 모두 이래저래 불만이 많다. 보리도 베고 논도 엎고, 모내기도 해야 할 때니 후보자들이 찾아와도 그다지 반갑지 않다. 마늘, 양파 수확이 밀리고 있고 과수 솎아내기도 해야 하는데 모두 일손이 달려 절절매고 있다.

결정적으로 일할 만한 사람들은 몽땅 선거판에 빼앗겼기 때문이다. 선거구마다 선거운동원이 수백 명씩 필요하고 일은 농사일보다 덜 힘들다 보니 웃돈을 얹어줘도 사람들 발길이 선거판으로 가게 된다. 도시 인력업체의 일용직 근로자들은 농촌 시계와 맞지 않아 쓸 수가 없고, 공무원들마저도 선거관리 업무에 쫓겨 도와줄 여력이 없다.

왜 선거일을 6월로 정하는지 모르겠다는 핀잔이나 불평이 쏟아져 나옴직 하다. 농어촌 지역의 유권자들을 배려하는 지방선거일 지정을 고려해볼 대목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