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사는 이주민들이 지방선거 후보들에게 복지 공약을 제안했다.

경남이주민노동복지센터는 경남이주민연대회의, 경남이주민센터, 김해이주민의집과 함께 3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각 정당에 5대 공약을 채택해달라고 요구했다.

공약은 △인종차별 및 이주민 혐오 예방 조례 제정 △이주민 자녀를 위한 공립 다문화 이중언어 특성화 대안학교 1개교 설립 △경남이주민사회센터 건립 △이주노동자 공공 기숙형 아파트 건립 △마산의료원을 이주민 공공의료 거점병원으로 지정이다.

김해이주민의집 수베디 여거라즈 대표는 "인종차별 및 이주민 혐오 예방 조례는 인종차별·혐오 표현이 개인·집단의 존엄을 해치고 사회통합을 저해할 우려가 있기에 도민 인권을 옹호하고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를 조성하려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07년 아프리카인 레스토랑 출입 거부, 2008년 아프리카인 상업시설 출입 제한, 2008년 외국인 산재노동자 직업재활훈련 거부, 2011년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대중목욕탕 이용 거부 등 인종차별 사건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된 바 있다.

중국 헤이롱장 출신 조수린 씨는 이주민 자녀를 위한 공립 다문화 이중 언어 특성화 대안학교가 필요하다고 했다. 경남지역 초·중·고교 다문화가정 학생은 8457명(2017년 4월 기준)에 이른다. 조 씨는 "다문화가정 자녀와 중도입국 학생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만을 교육에서 강조하지 말고, 학교 밖으로 이탈한 이주 학생을 흡수하고 실질적인 이중언어 교육을 할 수 있는 대안학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출신 리사노비아나 씨는 이주민 행정 절차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고, 이주민 복지·건강·문화·생활 편의 등을 향유할 수 있는 이주민사회센터 건립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스리랑카 출신 인두닐 씨는 이주노동자를 위한 공공 기숙형 아파트 건립을 제안했다. 그는 "한국인도 주거비용이 가장 큰 걱정이듯 이주노동자들도 회사 기숙사 의무 제공 규정이 없어지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의료 취약계층인 이주민을 위해 마산의료원을 공공의료 거점병원으로 지정해달라는 요구도 나왔다. 몽골 출신 히식달라이 씨는 "아파도 돈 걱정이나 언어가 통하지 않아 병원에 가기 어려워하는 몽골 사람을 돕고 있다. 마산의료원에 의료 통역자를 배치하고, 이주민의 신경정신과 치료를 특화하고 다문화가정 여성 전문 진료팀을 둬 의료 사각지대에 있는 이주민들의 건강권을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이주민 중 귀화한 국적취득자, ‘영주의 체류자격 취득일 후 3년이 경과한 외국인’ 중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 등록대장에 올라 있는 외국인은 지방선거에서 선거권(투표권)을 가진다.

2016년 12월 말 현재 경남 다문화 가정 및 외국인 이주민 가정은 1만 7929명이고, 이 가운데 국적 취득자는 8375명이다.

지난 2014년 지방선거에서 선거권(투표권)을 가진 외국인은 1266명으로 집계됐다. 이번 지방선거 선거인 명부는 오늘(31일) 확정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경남 이주민 가운데 선거권을 가진 이는 1만여 명으로 추산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