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진단]경남 해양오염, 이대로 둘 건가
수십 년 이은 매립·난개발로 생태계 훼손·오염 등 심각
환경단체 "정책 마련해야"

인간의 욕심으로 바다가 멍들면서 해양생태계가 위협받고 있지만 대책은 요원하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지만 정당이나 후보자들도 해양오염 문제에 대한 눈에 띄는 공약을 내놓지 않고 있다.

경남은 환경운동연합이 유일하게 해양생태계 보전을 이번 지방선거에서 의제로 제시할 정도로 개발이 많고, 그에 따른 해양오염이 우려되는 지역이다.

환경운동연합은 진해 와성만·거제 해양플랜트산단·창원 로봇랜드·구산해양관광단지 사업 등 공유수면매립계획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구산해양관광단지 사업 지역에서는 멸종위기종 2급인 기수갈고둥과 갯게의 서식이 확인됐다.

특히 경남지역은 수십 년간 매립과 난개발 등으로 해양생태계 훼손뿐 아니라 해양오염도 심각해 진해만, 마산만, 남해안 연안에 패류독소와 빈산소수괴가 기승을 부린다.

올해는 더 심하다. 지난 3월 초 경남지역은 패류독소 직격탄을 맞았다. 미더덕이 패류독소 기준치(0.8㎎/㎏)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미더덕축제가 취소되는가 하면 남해안에서 채취하던 멍게나 피조개, 키조개, 바지락 등에서도 패류독소가 기준치를 넘기면서 채취금지 조치가 내려지기도 했다.

거제시 사곡만지키기대책위원회 회원들이 지난해 11월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거제 해양플랜트산단 전면 재검토와 사곡만 100만 평 매립반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경남도민일보DB

빈산소수괴도 평년보다 2주 빨리 발생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 15일 진해만 일부지역에서 산소 부족 물덩어리인 빈산소수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해마다 패류독소와 빈산소수괴가 발생하고 사라졌다를 반복하고 있지만 대책은 어디에도 없다. 특히 빈산소수괴에 대한 대책은 무방비에 가깝다.

1970년대부터 진해, 마산, 창원, 고성, 통영, 거제 일대(진해만)를 비롯해 고성·자란만, 북신만, 가막만, 천수만 등 남해와 서해에서 매년 빈산수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2008년 8월(조개), 2009년 6월(숭어, 감성돔), 2012년(숭어, 전어, 노래미, 망둥) 마산만에서 발생한 수 차례의 집단폐사 원인도 빈산소수괴였다. 해양과학기술진흥원이 민간기업과 대학연구소에 위탁해 2014년부터 실시한 빈산소수괴 저감기술 연구개발은 3차 연도인 2016년 중간평가 탈락으로 연구가 중단되면서 대책 연구는 멈춘 상태다.

오염된 바다 대명사였던 마산만은 전국 최초로 연안오염총량관리제가 적용되면서 사정이 그나마 나아졌다. 지난 2016년 용존산소량(COD)이 2.19㎎/ℓ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찬원 마산만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위원장(경남대 도시환경공학과 교수)은 "해양생태계는 곧 수상먹거리와 직결되는데 아직도 개발논리에 뒤처진다는 게 해양오염이 해결되지 못하는 이유"라며 "해양오염을 해결하거나 대책을 마련하려면 개발보다 환경 보전을 희망하는 정치계의 입김이 필요하다. 시민단체의 외침은 한계가 있다. 이제는 정치권에서도 개발논리에서 빠져나와 환경을 보전하는 진지한 자세를 보여주길 바란다"고 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