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가 20여 일밖에 안 남았건만 지역 현안에 대한 정책대결은 어디로 사라졌는지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같이 치러지는 교육감 선거에는 아예 관심조차 없어 이러다가는 역대 최악의 깜깜이 선거를 기록하게 생겼다. 민족과 국가의 운명을 좌우할 남북관계란 중차대한 이슈가 다른 모든 정치적 사안들을 압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박근혜 탄핵 이후 정치적 지도력 부재에 시달리는 보수 야권이 중앙의 네거티브 정치에만 매달리다 보니 지방선거의 존재감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

각 시민사회단체와 직능단체가 후보자들에게 정책공약을 제시하고 실천의지를 약속받는 매니페스토 방식이 그나마 정책선거의 맥을 유지하고 있다. 경남농민단체연합회는 도지사 후보들에게 10대 농정공약을 요구하고 나섰다. 공약요구안을 통하여 농민들은 도농 복합 지자체인 경남에서 농업을 살리는 획기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절절하게 강조했다. 농민들이 한 해 농업으로 벌어들이는 평균소득은 단 1000만 원에 불과하다. 농가당 빚은 3000만 원에 육박하고 있다. 농사를 지어봐야 소득은 줄어들고 빚은 늘어나니 농업이 살아날 리 없다. 도농 간에 소득 격차는 더 크게 벌어지고 있으니 청년들은 진즉에 농촌을 떠났고, 농촌인구는 날로 줄어들어 아예 공동체 해체 위기를 맞고 있다. 전향적인 정책전환이 되지 않고서는 바닥에서 쳇바퀴를 돌 수밖에 없는 처지다. 경남의 농업이 경쟁력이 없는 것도 아니다. 서울·경기는 별개로 쳐야 하니 경남은 전국에서 농림수산식품 수출이 으뜸인 지자체다. 그런데도 경남도의 농업·농촌 분야 예산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전남과 비교하더라도 3분의 2 수준에 그치고 있다.

물론 첨단 산업이 중요하고 제조업이 경제규모를 키워왔다. 그러나 농업은 국민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의 기틀이요, 자연의 생태와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마지막 보루이기도 하다. 농업·농촌이 타 부문보다 생산성이 낮다는 단기 효율성을 가지고 따질 문제가 아니란 뜻이다. 도정을 책임질 후보자들이 농민들의 요구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