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시민교육 협의체 결성…정의·방향 필요성에 공감

촛불로 정권을 바꾼 '광장 민주주의'는 변화를 이끌었지만 경쟁·억압으로 둘러싸인 사회·교육시스템에서 '일상 민주주의'는 여전히 닫혀 있다.

촛불혁명 이후 일상의 민주주의 확대가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경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하 사업회)는 '경남 민주시민교육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첫걸음을 뗐다. 마산YMCA 3층 청년관에서 지난 17일 '경남 민주시민교육 길 찾기'란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참석한 민주시민교육 활동가 30여 명은 "민주시민교육 정의와 방향부터 명확하게 확립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황정옥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시민교육국장은 전국민주시민교육네트워크 추진 현황을 설명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민주화 운동을 기념하고 정신 계승 사업을 수행하고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에 따라 지난 2002년 설립된 공공기관이다.

지난 17일 경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마산YMCA 3층 청년관에서 '경남 민주시민교육 길 찾기'란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이혜영 기자

황 국장은 "민주시민교육국은 박근혜 정부 때 없어졌다 새 정부 들어 부활했다. 박 전 대통령은 민주시민교육을 좌파이념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촛불혁명 과정에서 시민사회는 '전국민주시민교육네트워크' 구성을 결의했고 올해 11월 출범식을 목표로 2월 준비위원회를 결성했다. 문재인 정부도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국정과제로 잡았다.

황 국장은 "그동안 다양한 민주시민교육이 진행됐지만 상호 시너지 효과가 없었고, 지역·영역별로 고립돼 왔다"며 "민주시민교육의 전국화-지역화를 병행 추진해 민주시민교육 주체 간 연결과 협력, 콘텐츠 개발을 통한 역량 강화, 제도화를 위한 공동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지역별 간담회가 진행되는데 경남에서 두 번째로 이날 열렸다.

토론회에서 시민교육 정의와 방향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조정림 경남연대회의 집행위원장은 "아직 시민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권리와 의무, 참여, 건전한 비판, 교양 등 방대한 내용을 교육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누구도 그만큼 시간을 내주지 않는다"며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집약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참석자들도 공감했다. 한 활동가는 "나조차도 시민교육 정의 정립이 쉽지 않다. 옳은 걸 말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힘이 모여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민주시민교육이라고 생각한다. 교육에 활동가 주관이 들어가는 것은 위험하다. 큰 정의와 방향을 명확하게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민주시민교육 활동가 양성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은 어린이, 청소년, 마을 리더 대상 민주시민교육 매뉴얼을 만든다. 경남도교육청 등과 협의를 거쳐 7월부터 10월까지 30여 차례 찾아가는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도 열 계획이다.

민주교육시민사업에 마산·거제·거창·김해·진주·창원·양산 YMCA, 마산·진주·창원 YWCA, 거제경실련, 느티나무 경상남도장애인부모회, 경남여성사회교육원, 경남이주민센터, 경남정보사회연구소, 마창진참여자치시민연대, 마창진환경운동연합, 밀양참여자치연대, 희망진해사람들이 참여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