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문예진흥원 정책세미나…'둥지 내몰림' 방지 강조

"도시재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사람이다."

문재인 정부가 '도시재생 뉴딜정책'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문화적 측면에서의 도시재생' 논의도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은 10일 오후 경남발전연구원에서 '문화적 도시재생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정책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자리 의미는 '어떠한 콘텐츠를 생산할지'보다는 '어떠한 마음으로 접근할지'에 있었다.

허정도 한국토지주택공사 상임감사위원은 '문화적 도시재생의 방향'을 주제로 한 기조강연에서 "문화적 도시재생 대전제는 사람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했다.

허 감사위원은 우선 문화적 도시재생 개념에 대해 '역사문화자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으로서 계획·실행·결과 모두 문화적 혹은 인간적인 것'이라고 정의했다.

허 감사위원은 "주민, 그리고 그들의 생활방식은 오랜 기간 전승돼온 기억과 삶의 역사로서 그 자체로 하나의 문화유산이다"며 "따라서 도시재생사업 때문에 오랫동안 살아온 주민들이 소외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다.

'둥지 내몰림 현상'은 기존 주민들을 내쫓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 역사·문화까지 소멸한다는 것이다. 결국 '문화적 도시재생'은 모두 동의하고 수용 가능한 계획을 세우고, 추진 과정의 갈등을 최소화해야지만 지속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허 감사위원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주민들이 사라지거나 정체성을 잃어서는 안 된다는 게 '문화적 도시재생' 기본 바탕이자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 밖에 △균형 잡힌 전문가의 적극적인 참여 △이해 집단 간 협력체계 구축 △공공예산 확보 △지역경제 발전 방안 마련 △유·무형 자산에 이야기를 입히는 작업 등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자로 참석한 신우화 대구경북연구원 도시재생연구팀장은 '대구지역 문화적 도시재생 사례'를 소개했다. 전국적으로 잘 알려진 '김광석길'도 이 가운데 하나로, 대구 중구가 문체부 지원 종료 후에도 자체 사업비를 확보해 영속성을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신 팀장은 "문화적 도시재생 강점은 지역 역사의 전통계승, 그리고 지역 문화예술인 활동 역량 강화 등에 있다"며 경남도 지역 특성에 맞는 콘텐츠 개발을 주문했다.

한편, 경남 도내 6곳이 지난해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에 선정된 바 있다. 옛 신아sb 터와 일대에 1조 원 이상 들어가는 '통영시 봉평지구'를 비롯, '사천시 삼천포 구항' '김해시 무계동' '밀양시 내이동 원도심' '거제시 장승포' '하동군 하동읍'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