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와 함께 치르는 교육감선거는 그 특징 탓에 평범한 시민들의 이목을 끌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교육감선거 출마자들은 자신들이 지향하는 정치적 성향이나 이념을 우선 부각하여 인지도 제고와 더불어 득표활동으로 이어가는 선거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먼저 교육감선거 출마자들이 후보단일화나 통합에 중점을 두는 이유는 분명히 있다. 교육감선거에선 우리가 아는 상식으론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 있다. 흔히들 교육문제에 대해선 전 국민이 전문가라는 말을 많이 한다. 하지만, 이 말은 결코 진리가 아니다. 교육문제를 두고 많은 학부모가 불평과 불만을 토로하고는 있지만 정작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나 정책마련에는 소외되거나 등한시되고 있다. 그리고 많은 학부모와 학생들이 관심을 두는 교육과정이나 입시제도와 정책들은 중앙정부가 전적으로 권한을 가지고 있다. 지방교육청은 이런 매우 현실적인 교육문제들에 대해서 제대로 된 발언조차 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 때문에 지방교육청은 기본 교육기관인 학교 행정을 감독하는 정도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학부모나 학생들의 교육개혁에 대한 기대와 눈높이를 충족하려면 개별 교육청마다 독립적 교육권을 가져야 한다. 교육문제를 두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배분이 제대로 설정되지 못하다 보니 교육감선거는 기존 선거의 판박이에 그친다. 특별한 교육정책이나 철학을 내세우는 선거가 아니라 기존 정치지형의 하위 구성요소로 자리매김하면서 진영논리로 귀결되는 경향이 크다. 진보진영의 후보들이 하나로 통합하면 보수진영의 후보들 역시 하나로 단일화해야 한다는 선거논리가 지배한다.

진보나 보수진영이 하나의 후보로 만들지 못하면 표의 분산으로 선거에서 패배할 개연성은 커질 것이고, 교육감선거 출마자들 역시 이런 현실을 감안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교육을 개혁해서 나라를 바꾸어야 한다는 본래의 의미나 내용을 선거공간에서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교육감선거에 직접 나선 출마자들이 자신만의 색깔이나 이미지를 정책으로 표현하는 현명함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