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경남지역 경제가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것은 조선 불황과 깊은 관련이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최소 10조 이상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국민세금으로 운영되는 기업임에도 구조조정 이행률이 사기업인 현대중공업(105%)보다 훨씬 모자라는 47.6%에 그쳤다. 이는 위기 극복에 경영진의 대응이 안일하다는 증거다. 구조조정도 문제투성이다. 구조조정 하나로 진행된 자회사 매각건의 경우 한 푼이라도 더 보태도 모자랄 판에 졸속 매각으로 오히려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 실제가치가 1000억 원 이상인 자회사 웰리브를 650억에 졸속으로 매각했는가 하면 대우조선해양건설은 인수 능력도 없는 주가조작 의심세력에 매각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으며 임직원들에 의해 서울남부지검에 고발된 상태다. 또 다른 자회사 디섹의 매각 건도 상식적이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이 같은 비상식적 매각에 대해 임원진 개입 등 현 경영진과 산업은행은 반드시 규명해야 할 책임이 있다.

회사 내부도 책임 있는 경영과는 정반대의 사건들이 줄을 잇고 있다. 2016년 200억대 횡령사건에 이어 2017년에도 수억 원대의 납품비리 사건이 발생했다. 안전사고도 끊이지 않고 일어나고 있다. 정성립 사장의 분식회계 건은 무혐의 결론이 나긴 했지만 원가절감 지시를 실무자가 오해해서 빚어진 촌극이라고 믿는 국민은 많지 않을 것이다.

대우조선해양이 만약 산업은행이 제기된 의혹에 대해 묵인하거나 방조했다면 이는 이전 경영진의 실패와 더불어 공적자금 관리와 관련하여 앞으로 큰 파문을 몰고 올 수도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6000여억 원의 흑자를 발표했지만 이 또한 무리한 인적 구조조정으로 일할 인력이 모자라는 현상과 논란이 되는 저가수주 지적을 상쇄할 정도는 안 된다. 그럼에도, 대우조선해양 이사회는 지난 4월 20일 긴급 이사회를 통해 현 정성립 사장 유임을 결정했다. 오는 29일 주총에서 결론이 나겠지만 정부와 산업은행이 덮고 가겠다는 것이 아니라면 분명히 문제가 있는 결정이다. 김경수 도지사 후보는 출마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 임명은 신중해야 한다고 했다. 마땅히 그래야 한다. 정부와 산업은행은 정상화를 위한 최선의 결론을 국민에게 내놓을 의무가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