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인 4·27 남북정상회담 결과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의 최대 변수로 떠오른 가운데 앞으로 이어질 북미정상회담을 포함한 남북대화 국면이 선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드루킹 특검'을 요구하는 데 당력을 집중하며 선거쟁점화를 시도했던 자유한국당은 정상회담 결과에 크게 충격을 받은 모양새다. 그 때문인지 자유한국당 지도부의 남북 정상회담 흠집 내기는 도를 넘었다. 홍준표 당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의 '위장 평화쇼'나 주사파 모략 운운하는 막말은 당내에서도 반발을 부를 정도다. 한국당을 제외한 야당들이 정상회담 결과에 우호적인 것과도 대조된다.

한국당 지도부가 남과 북 두 정상의 한반도 평화를 위한 노력을 어떻게든 깎아내리려 하지만 정상회담 결과는 여론의 지지를 압도적으로 받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지방선거에 불리하더라도 해묵은 색깔론을 꺼내거나 냉전적 사고를 내보이는 것은 공당으로서 민망할 정도로 시대착오적이다. 한국당이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한반도의 시계를 주시하지 못하는 모습도 딱하거니와, 그런 시대 퇴행적인 모습은 지방선거에서 더욱 불리한 결과를 낳을 것이다. 자유한국당의 생각과 달리 최근 지방선거는 서울 정치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는 대선이나 총선과는 다른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사태 직후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당시 여당은 안보 위기를 한껏 선거에 이용했지만 유권자들은 냉정했다. 2014년 세월호 참사 직후의 지방선거는 여당이 불리할 것이라는 관측이 빗나갔다. 대신 진보교육감의 대거 당선도 예상 밖의 일이었다. 이는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이 정치가가 아닌 지역의 일꾼을 뽑는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물론 남북·북미정상회담이 한반도를 넘어 세계사적으로도 주목되는 사건이어서 지방선거에 미칠 가능성은 일단 압도적이라고 짐작된다. 그럼에도, 역대 선거에서 유권자들은 지지율 높은 정당이라고 해서 무작정 표를 주지는 않았다. 특정 정당이 불리해지면 지지자들의 결집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한국사회가 변화하고 복잡해질수록 선거 판세를 점치는 것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여야를 막론하고 선거에 정치를 이용하지 말고 정책과 선의의 경쟁으로 유권자에게 평가받아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