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국제학교 설립에 대한 찬반양론이 비등하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의 추진의욕은 뜨거운데 반해 주무청인 경남도교육청은 신중한 접근 태도를 보여 답보상태다. 관련기관인 경남도와 창원시는 되도록 빠른 시일 내 성사를 원하는 듯하지만 교육단체들은 그동안 관망해오던 자세를 버리고 반대 측에 합류함으로써 상황이 악화하는 분위기다. 반대 명분은 별로 복잡하지 않다. 교육 다양화의 허울을 쓴 귀족학교 만들기라는 것이다. 학생은 주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에 거주하는 외국인 종사자 자녀가 대상이기는 하나 내국인으로 뽑는 학생도 수백 명에 달해 심각한 교육불평등을 가져올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학비와 기숙사비를 포함한 수업료가 수천만 원에 이를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일반 서민은 꿈도 못 꿀 특권 교육시설이 될 것이라는 우려다.

설득력이 있는 얘기다. 가령 입학할 수 있는 역내 외국인 자녀가 모자라 정원을 채울 수 없는 지경이라도 발생하면 학교 측은 손실분을 메우려고 더 많은 내국인 학생모집에 나설 확률이 크다. 그로 해서 파생되는 이질적 교육양극화는 물어보나 마나 한 것이다. 게다가 학력까지 인정해준다고 한다면 교육평준화 시책과는 등을 지게 되는 결과를 낳을 수밖에 없다. 이른바 금수저를 위한 특권층 학교가 되기 십상이라는 평가를 귓가로 흘려버릴 수 없는 이유이다. 도교육청이 창원 국제학교가 갖는 긍정적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잠재적 부정 요인에 주목하는 배경이 그와 같을 것이다. 교육 외적 관계기관들이 경제논리에 따라 하나같이 찬성하고 있는 데 비해 경남교육청과 교육단체 등 직접 당사자들이 펴는 신중론이 이해될만하다.

이 문제는 급하게 밀어붙일 일이 아니라 공감대부터 구하는 게 올바른 순서다. 그러자면 인가에서부터 학사 감독까지 일련의 교육과정을 책임지게 될 교육부나 도교육청의 판단이 존중돼 마땅하다. 추진 주체들이 먼저 설립계획을 세우고 외국인투자를 결정지은 후 교육청의 동의를 구하는 모양새를 갖추다 보니 입장 차가 드러났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교육청이 주체가 되어 타당성 여부를 면밀하게 검증해야 한다. 공론화를 통해 교육구성원들의 의견을 경청하는 한편 선진지 사례 벤치마킹도 반드시 필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