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국 지음
아끼는 책서 얻은 영감 소설로
단편 19편 묶어서 출간·북토크
사진잡지 기자 경험 관찰력 높은 글

<필사의 기초>, <오토바이로 일본책방>의 저자이자 진주 헌책방 '소소책방' 주인장 조경국 작가가 이번에는 소설책을 냈다. <아폴로책방>(펄북스, 2018년 4월 발행). 이름 그대로 헌책방을 배경으로 한 단편소설집이다.

◇짧지만 한 편 한 편 깊은 여운이 = "뭐야, 이거 생각보다 잘 썼잖아!" 첫 편을 읽고 든 생각이다. 책 속 작은 소설 19편을 읽으며 한 편이 끝날 때마다 여운에 시달리느라 잠시 딴 곳을 바라봐야 했다. 뜻밖에 탄탄한 서사다. 이는 단순히 상상력이 풍부하다고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이야기 소재는 책방 손님을 만난 경험으로 얻을 수 있다고 해도 소재를 풀어내는 방식, 정확하게는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내는 방식은 오랫동안 소설을 쓰지 않고는 얻을 수 없는 능력이다. 실제로 이 책은 그가 지금도 계속 쓰고 있다는 한 장편 소설의 외전이라고 말한다.

책을 읽다 문득 작가의 엄청난 독서량을 상상했다. 하지만, 독서량만으로는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올 수 없다.

<아폴로책방> 소설의 씨앗이 된 책들. /조경국 작가

"시는 진하게 사랑을 해본 사람만이 쓸 수 있죠. 상처받고 상처 입고… 그래야 시가 나오는 거지 신심만 깊은 사람은 시를 쓸 자격이…." - '세심탕의 봄' 중에서

"열외 없이 모두 죽음을 향해 가지만 그 사실을 망각하고 있기에 행복을 누릴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그리고 그 망각을 걷어내는 순간 불행이 시작된다고 했다." - '키사스 키사스 키사스' 중에서

지식의 양만으로는 불가능한, 아픈 경험을 통해 삶을 숙고하지 않고서는 쓰기 어려운 문장이다. 보기 드문 그의 이력을 통해 얼핏 상상만 해볼 뿐이다.

◇소설 한 권으로 즐기는 서적(書的) 유희 = 소설 19편이 끝날 때마다 뒷부분에 한 권씩 책 이름과 설명이 달렸다. 그러면 모두 19권이 된다. 이 중 한 권은 허구다. 나머지 18권은 실제로 작가가 오랜 기간 아끼던 책이다.

얼마 전 그는 <아폴로책방>과 이야기의 씨앗이 된 책들을 함께 놓고 찍은 기념사진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구할 수 없던 것과 실전하지 못한 것을 빼고 모두 16권이다. 그러면서 이렇게 적었다.

<아폴로 책방> 조경국 지음.

"모든 책에는 사람처럼 사연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베스트셀러든 아니든, 새책이든 헌책이든, 값이 비싸든 아예 값이 없든 책은 존재 자체만으로도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 헌책방을 하면서 그 생각이 더 굳어졌다. 책 때문에 드라마의 한 장면 속에 서 있는 듯한 기분이 든 적이 많았다."

<아폴로책방>은 자신이 아끼는 책의 감상평, 그러니까 그 책의 좋았던 부분을 생각하며 그 느낌을 소설로 표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어쩌면 사진 같은 문장들 = '소소책방'에는 어지간해서는 구하기 어려운 사진 책이 많다. 이를 보려고 서울에서 온 손님도 있다는 소릴 들었다. 조경국 작가는 사진 잡지 기자 출신이다.

그가 <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 같은 사진 실용서 저자였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안다. <한겨레> 등 여러 매체에 사진 관련 칼럼도 열심히 연재했다. 사진 책 수집가들이 기를 쓰고 초판본을 구하는 고 전몽각 교수의 아마추어 사진집 <윤미네집>이 2010년 다시 출판됐을 때 편집을 맡기도 했다.

12일 진주문고에서 열린 <아폴로책방> 북토크에서 독자들에게 사인을 하는 조경국 작가. /이서후 기자

사진은 빛을 담는 예술이다. 빛에 대한 다음 묘사는 마치 사진 한 장을 보는 듯하다.

"서가 사이에서 찰칵 셔터 소리가 들렸다. 비스듬하게 먼지들이 또렷하게 보였다. 셔터 소리의 여운은 길었다. 소리는 희한하게도 공기 중에 오래 떠 있었다. 이리저리 부딪히고 갈라져서 메아리처럼 조금씩 사라졌지만 작은 알갱이처럼 책방 안을 떠돌았다." - '롤라이35수집가' 중에서

소설들 곳곳에 마치 잘 찍은 사진 한 장 같은 문장이 가득하다.

"균형만으론 부족해요. 정말 좋은 사진은 균형과 긴장감이 함께 들어 있어야죠. 균형만 있는 사진은 영혼이 없어요. 저기 가족사진처럼." - '완벽한 사진' 중에서

사진에 대한 이 문장은, 마찬가지로 그가 쓰는 소설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아니 어쩌면 그가 추구하는 삶 자체인지도 모르겠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