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개관한 마산장애인복지관의 이전문제를 두고 지역사회에서 비판이 거세다. 이 장애인복지관은 마산합포구 산복도로에 있다 보니 개관 당시부터 이전이 필요하다는 말이 나왔다.

급경사 도로와 산복도로를 접한 마산장애인복지관의 규모는 인근의 창원과 진해보다 2~3배가량 적을 만큼 협소하다. 시설물의 위치가 불량한 것도 모자라서 협소한 공간과 시설로 장애인에게 필요한 체육활동이나 재활훈련시설과 같은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소화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장애인이라면 먼저 누려야 할 접근권을 논하기도 민망한 시설물이라는 점에서 도대체 누구를 위한 복지관이냐는 푸념과 원망이 나온다. 창원시는 시설 이전의 의지 부족 때문이 아니라 아직 대체 터를 찾지 못해서 이전이 늦어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지자체의 모든 사업에는 항상 우선성과 긴급성에 따른 행정집행의 순서가 정해질 수밖에 없다. 불과 15년 전인 개관 당시부터 장애인 시설이라고 부르기도 민망할 만큼 조그맣게 만들어 놓고선 장애인단체들의 이전요구를 지금까지 묵살하다시피 한 이유부터 창원시는 해명해야 한다. 이 기간에 과거 마산시가 사라지고 창원시로 통합되다 보니 민원처리가 늦어질 수도 있었겠지만 사회적 약자와 관련한 사업을 우선하지 않았다는 잘못은 분명하다.

지역사회에서 다시 일고 있는 마산장애인복지관 이전을 신속하게 실행하라는 압력과 비판에 대해 창원시는 이전 대책을 세우는 것으로 화답해야 한다. 시간이 가면 자연히 해결되지 않겠느냐는 희망도 있지만, 무책임한 기대다. 정말로 긴급하게 필요한 장애인 시설물들을 마치 대단한 선심 쓰기라도 하듯이 만들어 놓고선 그걸로 모든 걸 잊으려고 드는 전근대적인 행태와 사고는 이번 기회에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

멍청하고 아둔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이전의 잘못에 눈을 감아서는 곤란하다. 창원시의 행정 담당자에게 책임을 따지자는 게 아니다. 오히려 우리 속에 같이 하고 있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걷어내는 일이 필요하다. 특히 장애인관련 복지사업은 대단한 혜택 주기가 아니라 사회적 약자의 권리 찾기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