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지방선거의 최고 이슈가 먹고사는 문제에 집중되어있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주력 업종인 조선산업이 침체하면서 실업자는 늘어나고 돈의 흐름이 막혀 그런 현안을 해결하지 않는 한 그 어떤 누구도 또 정치세력도 서민생활의 안녕을 자신할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도지사에서 동네 복지를 돌보는 기초의원까지 모든 후보들이 경제회복을 제일의 공약으로 내건 배경이 그와 같다. 대형 조선소가 제대로 가동되지 않거나 문을 닫은 채 오래가게 되면 수많은 연관 하청업체가 연달아 쓰러지는 도미노 현상이 초래된다. 그 기간이 장기화하거나 혈류순환이 경색되는 지경에 이르면 역내 경기는 위축되고 따라서 먹고사는 본질 문제가 위기를 피할 수 없다.

전적으로 현 정부의 책임으로 돌리기에는 무리한 측면이 있지만 앞으로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한 강력한 기대감을 충족시켜줄 책임까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후보나 자유한국당 김태호 후보가 도지사 출마를 선언하면서 내건 선거구호가 별로 차별 나지 않은 이유일 것이다. 누가 경제난국을 타개할 수 있는 적임자냐. 선택은 유권자의 몫이며 표심의 향방이 거기에 걸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중요한 시기에 일정부분 역할이 큰 도지사를 공석상태에 빠지게 한 홍준표 도정 책임론이 거론되는 것은 고통받는 민생의 한 단면을 반영하는 것과 같다. 정부와 지방 간의 연결고리가 봉쇄됐던 상실감이 사태를 더 키우지 않았나 하는 의문이 드는 탓이다. 그런 만큼 너도나도 경제를 되살리는 리더가 되겠다고 자처하고 있다.

도지사나 시장 군수, 나아가 역할을 분담하는 차원에서 지방의원까지 권한과 능력을 인정한다 해도 먹고사는 문제는 중앙과의 정책적 연담화가 없이는 불가능할 것이다. 모든 출마자들이 표심을 얻으려는 방편으로 선보이는 구호성 공약으로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향토산업을 되살려 고용을 증진시키는 한편 그에 상응하는 경기상승 효과를 높이려면 자구적인 노력이 우선이며 대대적인 지원대책이 병행돼야 한다는 것은 이제 상식에 속한다. 선거공약 역시 그런 현실감을 토대로 구체화하지 않으면 공신력을 얻기 어렵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