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출마 후보자들의 면면이 서서히 구체화하고 있다. 예비 후보자들의 명성이나 인지도에 따라 선거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곤 한다. 하지만, 인물이 다른데도 불구하고 공약이나 주장이 지나치게 개발에만 치우치면서 정작 지켜야 할 가치나 신념은 놓치고 있다는 지적은 오래전부터 있었다.

선거 때마다 정당들은 자신들의 지지기반인 유권자들을 중심으로 편 가르기나 세력 나누기를 하면서 이른바 대세를 장악하려고 한다. 선거 때 바람몰이를 쉽게 하려면 후보자의 인물 됨됨이를 따지는 방식이 가장 손쉽다. '사람이 좋아서'라는 한마디가 지니는 영향력은 선거의 승패를 좌우할 만큼 크기도 했다. 하지만, 특정 정당에 일방적인 지지를 보이는 지역주의 정치에서 사람을 핑계로 대는 행위는 어쩌면 얄팍한 눈속임에 불과하다. 다른 말로 하면 특정 정당에 대한 나쁜 감정이 있기 때문에 다른 정당의 인물이 아무리 좋아도 지지하거나 선출할 수 없다는 편견과 옹고집을 우리는 익히 겪어왔다. 이런 식의 선거를 계속 반복한다면 우리 사회의 미래와 발전을 기대할 수 없고 오히려 방관하거나 포기하는 냉소적인 입장이 더욱 강해질 수밖에 없다.

정당들이 잘못된 현실을 부정하고 개혁하려 한다면 후보자들의 선출과정이나 공약채택까지도 이젠 손을 봐야 한다. 물론 예비 후보자들이 자신의 특기와 장점을 살려 마음대로 공약을 거는 걸 통제하기는 어려울 수는 있다. 하지만, 이런 공약들이 하나같이 각종 개발공약으로 치환되면서 정당이 지닌 정치적 신념은 사라지곤 하여 왔다. 예를 들어 창원시장에 나선 민주당 후보자들이 내건 창원순환고속도로 건설, 정밀기계산업 자생력 향상, 방위산업 육성 공약들이 자유한국당 후보자의 그것과 과연 차이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이런 공약 중에서 실현가능성과 선거효용성이 많은 의제는 후보자들이 지닌 가치관의 차이를 벗어나 모두가 하겠다고 나서는 모양새가 만들어지곤 한다. 과거 선거판과 다른 분위기를 정당들이 만들어 내려면 지역에 반드시 필요하지만 현재 부족한 콘텐츠가 무엇인지부터 정리하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시각을 개별 후보자에게 요구하기보다 정당이 나서서 정리하는 과정이 있어야 후보자 선출에서 유권자의 뜻이 담길 수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