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의 관문인 남해고속도로 동마산나들목과 서마산나들목은 복잡하게 설계된 도로 구조 때문에 운전자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는 곳으로 악명이 높다. 두 나들목 모두 고속도로와 일반 도로를 잇는 진입로·출구로가 제대로 구분하기 쉽지 않게 설계되어 있어 지리에 익숙하지 않거나 미숙한 운전자들이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급기야 2013년 동마산나들목에서 진출입로를 착각한 운전자가 역주행 사고로 사망한 사고가 일어났다. 그 이전이나 이후에도 역주행 사고가 더 일어났다고 한다. 문제는 사망 사고와 아랑곳없이 역주행사고 예방이 10년 넘게 해묵은 과제로 남아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당국의 대응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2013년 역주행사망 사고 직후 경찰과 도로 관련 당국은 부랴부랴 합동조사에 나서서 예방 대책을 내놓은 적이 있다. 그때 나온 대책은 나들목 진입로 노면 진입과 출입의 색깔 표시, LED표지판과 진입 금지 표지판의 추가 설치 등이었다. 그러나 이런 대책은 시각적 자극을 통해 운전자가 오판하지 않도록 돕는 것일 뿐 사고의 근본 원인을 뿌리 뽑는 대책이 아니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그마저도 야간이나 새벽에는 효력이 더 크게 떨어지는 것이었다. 2013년 역주행사고도 새벽에 일어났다. 동·서마산 나들목의 진출입로를 한 곳에 설계한 구조적 결함이 가장 큰 문제라는 점을 당국도 모르지 않을 것이다. 도로교통공단은 한때 동마산나들목의 팔용로 방향을 차단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다른 방면의 교통량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에 발목이 잡혔다. 이러한 태도에서 시민의 생명을 대하는 당국의 관점을 엿볼 수 있다. 어제 경찰과 도로 당국은 동서마산 나들목에서 현장점검을 했다. 지금이라도 진출입로를 물리적으로 떼어놓는 등 대대적인 수술을 하는 것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다. 중앙 정부의 안일한 태도도 문제다. 2015년 국민권익위원회는 경찰청, 한국도로교통공단과 함께 벌인 조사에서 경남의 역주행 교통사고 발생 지역 8곳을 점검하여 개선하겠다고 발표했다. 벌써 13년 전의 일이다. 하루에 두 나들목을 통과하는 수십만 대의 차량이 시한폭탄을 안고 달리게 해도 좋은지 묻고 싶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