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강댐 치수능력증대사업과 관련해서 사업 주체인 한국수자원공사와 지역민 사이에 진실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먼저 수자원공사의 해명은 계획의 첫 단계인 사천만 쪽 방수로 확장공사는 홍수에 대비해 댐의 안전을 도모하려는 방편이지 부산 물공급과는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민들은 지리산댐 건설을 위한 사전포석으로 이해한다. 사천만 방수로는 바다 어족 생태계를 교란하는 요인이 되는바 제수문을 증설하고 수로를 넓힌다면 피해가 커지는 것은 둘째치고, 상류에 새로운 댐을 건설하는 조건이 아니라면 왜 필요한지 의구심을 갖게 한다.

치수능력을 향상하는 사업이 댐의 담수 용적을 증대시킨다는 측면을 간과하지 않는다면 단지 홍수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라는 수자원공사의 설명은 이해하기 쉽지 않다. 남강댐의 담수량이 많아질수록 진주시민과 하류지역 수계 주민들의 생존권이 크게 위협받기 때문이다. 수천 수억 톤의 물이 담긴 진양호를 머리에 이고 살아가는 지역민들의 처지를 감안하면 그 물탱크를 키우는 계획은 단순하게 치수사업의 하나로 치부되어 넘어갈 일이 아니다. 아직은 그런 구체적인 실행단계에까지 진전된 것은 아니지만 선후 인과관계를 고려한다면 시민들의 주장이 지나치다거나 앞으로 너무 많이 나갔다고 잘라 말할 수 없다. 민관으로 구성된 남강치수대책협의회에 대한 불신도 문제다. 각계를 망라해 참여하고 있다지만 논의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자율적 의사결정권을 가지고 있는지 불투명하다. 이래선 설사 계획이 합리적이라 하더라도 공감대를 얻기에는 부족하다. 논란을 걷어내고 중론을 모으려면 모든 절차와 과정을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

우선 의심을 받는 지리산댐 건설 여부를 공식화해야 할 것이다. 그 진위가 확실하게 수면위로 올라와야 남강댐 치수능력 증대의 당위성과 사천 방수로 증설사업의 타당성이 제대로 검증될 수 있다. 젖줄인 낙동강을 죽은 강으로 방치한 채 지리산 물을 이웃 대도시에 공급한다는 명분으로 주민 생존권을 침해해도 좋다는 논리는 허용될 수도, 되어서도 안 된다. 만일 그런 등식이 통했다면 진작에 결론이 났을 것이다. 그렇지않다는 것을 인정받고 싶다면 추진상황과 실상을 숨김없이 드러냄으로써 지역민의 불안감을 없애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