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국회 보건복 지위원장 양승조 의원과 한국건강형평성학회가 주최한 <지방자치 시대의 건강 불평등, 무엇을 할 것인가>에서 박진욱 계명대 교수가 발표한 지역별 건강 격차 실태는 자못 충격적이다. 지역에 따라 주민의 건강이나 수명이 격차가 크다는 것은 이미 알려졌다. 그러나 건강 격차 프로파일을 중심으로 지역별 건강 불평등 실태가 정밀히 분석된 것은 유례가 드물다. 박 교수의 시도 및 시군구별 기대수명과 소득계층 간 격차에서 2015년 소득 5분위 간 기대수명 격차는 6.59년으로 나타났다.

주목되는 것은 경남의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관련 지표가 대부분 나쁘다는 것이다. 2012~2015년 17개 광역시도별 기대수명 조사에서 경남은 80.9세로 15위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지역 내 소득 5분위 별 기대수명 격차에서 경남은 6.8세로서 전국에서 7번째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곳은 울산의 4.3세였다. 또 2010~2015년 시군구별 기대수명 하위 10개 지역에는 79.05세의 통영시와 창녕군 등 경남이 두 지역이나 포함됐다. 같은 기간 기대수명 상위 지역은 모두 서울과 수도권이 차지했다. 창원시 성산구(3.28세)가 같은 기간 기대수명 격차가 가장 낮은 10개 지역 중 하나로 드러났지만, 의령군(67.3)과 사천시(68.58)의 경우 남성 소득 하위 20%의 기대수명이 2013년 북한 남자 평균 68.7세보다 낮은 14개 시군에 포함되었다. 2008~2014년 17개 광역시도별 건강수명 나이는 경남이 64.3세로 전국에서 꼴찌였다. 심지어 같은 기간 건강수명 하위 10개 지역에 하동(61.09세), 남해(61.27세) 등 두 개 지역이 포함되었다.

건강 불평등은 경남과 다른 지역 간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도내 시군구 내에서 소득이나 성별에 따른 건강 격차도 크다는 것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져야 한다. 이러한 차이는 대기·녹지 환경, 주민 소득, 병의원이나 공공 의료기관 숫자 등과 무관하지 않겠지만, 면밀한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건강 격차는 지난 대선에서 심상정 후보를 제외하고는 제대로 다룬 적이 없다. 마침 다가오는 지방선거에서 주민의 건강 불평등 문제는 중요한 의제로 다루어질 필요하며, 각 정당은 이 문제에 대해 대책을 만들 수 있는 적기로 삼아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