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마민주항쟁 진상규명 및 관련자 명예회복심의위원회'(진상규명위)가 내놓은 진상조사 보고서가 부실하다는 비판이 쏟아지는 가운데, 이를 뒷받침하는 증언이 나왔다.

2014년 출범 당시 조사위원에 합류했다가 이듬해 자진사퇴한 남부희 전 위원은 최근 인터뷰를 통해 부실 보고서 논란의 배경에 부마항쟁 진상을 적극적으로 규명할 의지가 부족한 위원들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남 전 위원은 1979년 항쟁 당시 일간지 기자로서 역사적 현장에 있던 인물이다. 그는 경찰에서 입수한 자료와 당시 계엄령 치하에서 출고하지 못한 기사 원고를 부마항쟁 10주년에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에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자신이 보유한 기록과 증언이 위원회에서 배척되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남 전 위원이 가장 문제로 꼽는 것은 위원회가 고 유치준 씨를 항쟁 관련 사망자가 아니라고 결론지은 점이다. 남 전 위원은 자신이 유 씨 사망 현장에서 채집한 목격자 증언이나, 정황상 타살이 분명하다고 기록한 경찰 자료가 유 씨의 사망 원인과 항쟁의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음에도 배척당했다는 것이다. 심지어 조사를 해보자고 제안했지만 그마저 거부되었다고 한다.

유 씨 사망 원인 조사도 없이 사망 원인이 항쟁과 무관하다는 결론이 나왔다면 납득하기 어렵다. 진상규명위 조사가 부실해진 원인은 박근혜 정부 당시 조직이 꾸려졌고 민간위원 중 박근혜 대선 캠프나 인수위원회 출신이 3명 포진해 있는 등 객관성이 부족한 인사 구성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40년 전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는 데는 시간이 충분히 필요하다. 더욱이 부마항쟁은 한국 현대사의 민주항쟁 계보에서 큰 구실을 하고 있음에도 그 의의를 충분히 평가받지 못했다. 진상규명위가 3년간 활동으로 부마항쟁의 진상을 밝혔다고 생각한다면 졸속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한다. 진상규명위가 내놓은 보고서조차 신뢰를 잃을 정도인 것은 부마항쟁이 명예회복으로 가기 위한 길이 여전히 험난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정부는 원점으로 돌아가 공신력 있는 인사들로 조직을 새로 꾸리고 조사위원들에게 독립적인 지위와 권한을 보장하여 활동하도록 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